레이블이 교감신경 소화억제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교감신경 소화억제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3년 8월 1일 화요일

기분 나쁘면 소화가 안 되는 이유. Why you can't digest food when you're in a bad mood

 










밥 먹을 때는 개도 안 때린다는 이야기가 있다.

그건 바로 소화작용에는 신경이 관여 한다는 이야기다.

소화작용을 우리 마음대로 시킬 수가 없다.

그건 자율신경이 소화작용을 맡고 있기 때문이다.

오장육부는 자율신경이 다스린다.

자울신경은 제맘대로 움직이는 신경이다.

우리가 팔다리를 마음대로 움직일 수 있지만 심장아! 뛰지 마라!

위장아! 움직이지 마라1 움직여라1 할 수가 없다

왜냐면 그것들은 제멋대로인 자율신경이 지배하기 때문이다.

팔다리를 마음대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은 대뇌의 지배를 받는 체성신경계가 다스리기 때문이다.


자율신경에는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이 있다.

교감신경은 우리 몸이 비상이 걸렸을 때 우리 몸을 지배한다.

부교감신경은 우리 몸이 안정상태일 때 우리 몸을 지배한다.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은 서로 길항작용을 한다.

예를 들면 교감신경이 침분비를 억제한다면 부교감신경은 침분비를 촉진한다.















위의 그림을 보면 교감시경은 소화작용을 억제하고

부교감신경은 소화작용을 촉진 한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아래에 직장운동 이완이라고 쓰여 있는 것은 배변도 억제한다는 뜻이다.

직장이 수축되어야 똥마려울테니까

부교감신경쪽으로 직장운동 촉진이라고 쓰여있는 것은

바로 대변을 내보내려고 직장이 운동을 한다는 뜻이다.

정말 바쁠 때나 정신 없이 보낼 때는 화장실 가는 것도 잊는다.

그래서 변비가 되기도 하지만....

아주 바쁘면 똥탄다고 하던가????

 

그럼 왜 교감신경은 소화작용을 억제할까?

교감신경은 우리가 위급에 처해 있을 적에 활동을 한다.

부교감신경은 우리가 편안 할 적에 활동을 한다.

 

우리가 위급에 처하면 교감신경은 소화기관에 몰려 있는 혈액을

팔다리 근육과 머리로 흘러가게 한다.

그래서 우린 주먹을 불끈 쥐고 주위를 경계태세로 살피며

머리 속에서는 상황판단을 위해서 추리하고 판단한다.

그리고 지방을 당으로 전환시켜 혈당으로 만든다.

우리에게 교감신경이 있어 순발력도 발휘하는 거다.

만약에 교감신경이 활동을 하지 않는다면 우린 물에 물탄듯

그런 언행만을 할 것이다.

무슨 일이 있을 때 일 처리를 일사천리로 해결을 하는 것도

교감 신경이다.

그래서 소화관을 쉬게 하는 것이다.

 

교감신경의 말단에서는 아드레날린이 나와서 활동개시를 시킨다.

부교감신경에서는 아세틸콜린이 나와서 활동개시를 시킨다.

 

 우린 누가 화나게 하거나 약을 올리면

"나 말이야 아드레날린이 나오려고 한다" 라고 말한다.

즉 화가 날려고 하니 조심하라는 뜻이다.

아드레날린은 공격성을 가지고 있다.

 

주변이 모두 안정상태가 되면 교감신경은 활동을 멈추고

부교감신경이 활동을 한다.

그럼 머리와 팔다리에 몰린 혈액은 소화관으로 몰려서

소화작용을 촉진 시킨다.

 

우리에게 기분 나쁘게 하면 우린 주먹이 쥐어지고

머리 속이 복잡해지면서 혈액이 머리와 팔다리로 몰린다.

그럼 소화작용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는다.

 

분위기 좋은 곳에서는 기분이 좋아져서 식욕도 나고 소화도 잘 된다.

그래서 추억을 만들고 싶을 때는 아주 분위기 좋은 곳에 가서 식사를 하라!

그럼 잊을 수 없는 추억을 만들어 줄 것이다.

 

전쟁터에 나가기 전날에 군인들에게 고기와 술과 식사를 아주 많이

시키고는 그 다음 날 전쟁터에 나가는 날에는 식사를 주지 않았다는

옛날 이야기도 다 전쟁 할 때 교감신경 체재로 우리 몸을 돌려 놓기 위해서다.

식사를 많이 하고 걸으면 참 힘들다.

물론 적당히 먹었을 때는 괜찮지만….

 

소화를 촉진 시키는 부교감신경이 활동을 하려면 기분이 좋아야 한다.

기분이 나쁘면 교감신경이 활동을 해서 소화가 억제된다.

즉 우리가 기분 나쁘면 소화가 안되는 이유는

바로 교감신경이 활동을 하기 때문이다.

 

2023년 7월 15일 토요일

치아의 구조는 어떻게 생겼을까? What does the structure of teeth look like?




 앞니 단면도














어금니 단면도




그림은 앞니 단면도





거울을 앞에 놓고 입을 벌려 보면

하이안 치아가 찌끔 반작거리며 반긴다. 

우리 몸에서 가장 단단하다는 치아는 99%가 무기질로 되었다. 

치아의 무기질은 주로 칼슘과 인이다.

 

우리 눈에 확 들어 오는 잇몸 위에 나와 있는 치아의 부분은 치관이다. 

잇몸속에 있는 치아의 뿌리는 치근이다. 

잇몸을 경계로 치관과 치근 사이는 치경이다. 

잇몸은 치은이다.

 

 

우리 눈에 보이는 치관의 겉은 사기질이라고도 말하는 에나멜질로 되었다.

이 에나멜질은 아주 단단하고 빈틈이 없이 만들어진다.

 

 

에나멜질 속은 상아질이다. 

이에는 에나멜질로 양분을 공급하는 아주 작은 길이 있어

사기질을 계속 보수한다. 

그러기에 우리가 맨날 치아를 닦아도 닳아지지 않고 항상 그대로다. 

닳아지는 만큼 항상 새롭게 보수된다. 

상아질은 사기질 보다는 덜 단단하다.

 

 

치근은 잇몸 속에 숨어서 치아를 단단하게 턱뼈 속에 밖고 있는데 

뼈의 성분과 비슷한 시멘트질로 되었다. 

시멘트질 속에도 상아질이 있다.

 

 

상아질 속은 비었는데 치수강이다. 

그리고 치근의 맨 아랫부분에는 작은 구멍이 있는데 치첨공이다. 

치첨공을 통해서 치주강 속으로 혈관과 신경이 들어간다.

 

 

치근 둘레에는 아주 질긴 치주막이 감싸고 있다. 

오~오 이 치주막에 염증이 생기면 심한 통증이 와서 미친병이라는 이앓이를 한다.

 

 

 "치아의 구조에 대해 알고 있니?

아니.

치아는 우선 겉으로 치관과 치경과 치근으로 나누어진다.

치관?

잇몸 위로 나와서 우리가 치아라고 부르는 부분이다.

그럼 치경은?

잇몸을 사이에 두고 치관과 치근이 만나는 곳을 말해.

치근은?

잇몸 속으로 들어가 잇는 치아의 뿌리다.

그렇지 치아에는 뿌리가 있지.

또한 잇몸을 치은이라고 불러.

잇몸을 치은이라고 불러?

그래. 치아의 겉을 보아서 치관,치경, 치근으로 나누고 잇몸은 치은이라고 부르지.

그런데 치아는 왜 빤작거려 잘 봐봐 빛이 나지 그렇지?

치관의 겉은 우리 몸에서 가장 단단한 사기질 즉 에나멜질로 되어서야.

사기질이라고..그래 사기는 반짝거리지.

사기질 안쪽은 상아질이다.

상아질?

사기질 보다는 덜 단단해.

그렇구나.

치아의 속은 비었는데 치수강이라고 한다.

으흥 뼛속도 비었고 골수강이라고 하는데

뼈는 골이라고 골수강 치아 속은 치수강.

그렇구나. 비어 있는 곳은 수강이네.

치근의 겉은 뼈의 성분과 비슷한 시멘트질 즉 석회질로 되었다.

치아의 뿌리 겉은 석회질로 되었다구.

물론 석회질  속은 치관의 사기질 속이 상아질이듯이 상아질로 되었어.

그렇구나.

상아질은 치수강을 감싸고 있다.

무엇을 보호하려고?

치수강 속에는 혈관과 신경이 들어가 있거든.

치아는 날마다 문지르는 대도 항상 그대로구나.

맞아. 치아 겉이 단단한 사기질로 되었지만 아주 좁은 통로가 있어 보수를 해.

그렇다. 혈관이 있어 양분 공급을 받으니까 닳아 없어진 부분을 재생을 하지. 

그런데 치근은 그냥 잇몸 속에 들어 있어?

아니야 단단하고 질긴 치주막으로 보호되고 있지.

치주막?

치주막에 염증이 생기면 정말로 아프다 .

그게 치주막염이구나.

치주막염으로 치아뿌리가 상하면 치아가 겉은 말짱하지만 흔들거리는 풍치가 되지."

 

 

우리들의 치아는 잇몸 위에 나와 있는 치관, 잇몸 속으로 들어 간 치근, 치관과 치근 사이 즉 잇몸을 사이에 둔 경계선을 치경이라 한다. 치관의 겉은 사기질로 되어 있고, 치근의 겉은 석회질로 되어 있고. 사기질이나 석회질 속은 다 같이 상아질로 되어 있고, 상아질 속은 치수강이다. 치수강에는 혈관과 신경이 있는데 이것들은 치근의 맨 아래에 있는 치첨공을 통해 들어간다.잇몸은 치은이다. 치은은 치주막으로 싸여 있다.

치질이 생기는 이유와 예방

  치질이 생기는 이유와 예방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