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신피질 학습. 고피질과 구피질 본능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신피질 학습. 고피질과 구피질 본능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3년 9월 12일 화요일

대뇌는 본능을 맡는 부분과 생후 학습을 맡는 부분이 다르다. The part of the cerebrum that handles instincts and the part that handles learning after birth are different.



오른쪽 그림을 보면 신피질이 맨 위에 있고 오른쪽 아래 보면 학습이라고 쓰여있고, 고피질과 구피질은 번연계 본능리라고 쓰여있다.




막 태어난 갓난아기가 젖을 빨고 불편하면 울지.”

 

젖을 빨아야 한다는 것을 어떻게 알까요?”

 

본능이니까.”

 

본능은 태어나기 전에 배운 건가요?”

 

조상 대대로 배운 것을 유전 물질로 저장해서 그것이 프로그램화 되어 태어나서 그대로 진행되는 것 같아.”

 

동물도 그래요.”

 

바다거북이가 모래 속에서 알에서 깨어나면 바닷물을 찾아 가는 것도 본능이지요.”

 

철새가 계절 따라 이동하는 것도 본능이지.”

 

본능은 어디에 존재하나요?”

 

대뇌의 발달 순서를 설명하면서 본능 이야기를 하자구나.”

 

대뇌가 발달 순서가 있나요?”

 

발달 순서에 따라 세 부분으로 나누어져.”

 

어떻게 요?”

 

대뇌의 발달 순서는 구피질고피질신피질이야.”

 

구고신 순서네요.”

 

구피질과 고피질은 동물들과 같아.”

 

어떤 일을 하는데요?”

 

구피질은 쾌감, 불쾌감, 분노 같은 감정에 따른 신체 변화를 일으키는 감정 상태를 맡는데 이런 것들을 정동이라고 말해.”

 

정동이요?”

 

한문으로 정은 뜻, 을 쓰는데 느끼어 일어나는 마음의 작용이란 뜻이고, 동은 움직일 동 을 써서 두자를 합해 정동(情動)이라해.”

 

감정으로 움직인다는 뜻이네요.”

 

맞아.”

 

고피질은요?”

 

식욕과 성욕 같은 본능에 관여해.”

 

구피질과 고피질은 아주 동물적이네요.”

 

그래서 구피질과 고피질은 모든 동물이 공통으로 가져.”

 

구피질과 고피질은 사람도 동물과 같다는 거네요?”

 

맞아. 구피질과 고피질을 변연계라고 해.”

 

신피질은요?”

 

태어나면서 학습으로 얻어지는 지식을 모두 입력 시켜 저장하는 일을 해.”

 

태어날 때는 아무것도 저장되지 않았나요?”

 

신피질은 아무것도 그려지지 않은 하얀 도화지야.”

 

태어나서 학습되는 것이 그 하얀 도화지에 그려지는 거네요.”

 

학습을 하면서 어른이 되면 신피질은 어떤 작용을 하나요?”

 

사람 답게 살아갈 수가 있지.”

 

사람 답게 살아가려면 요?”

 

첫째 언어 소통을 해.”

 

글을 쓰고 읽어요.”

 

불을 이용해 요리도 해.”

 

노래도 하고 연극도 하고 영화도 만들어요.”

 

기술을 연마해서 문명을 발달 시키고, 문화예술을 창조해서 발달 시키지.”

 

감정이 발달하여 심리작용도 고도로 발달해.”


맞아요. 동물은 단순한 감정을 갖는데 사람은 복잡해요.”


사람만이 기술을 연마해 문명을 발달 시키고 나아가 문화를 발전시켜.”

 


적혈구의 산소운반. 빈혈증의 이유

  적혈구의 산소운반, 빈혈증의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