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코르티죤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코르티죤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3년 8월 27일 일요일

혈당 증가 시키는 여러 호르몬과 조절하는 방법. Various hormones that increase blood sugar and how to control them



우리 몸에서 혈당을 조절하는 호르몬으로는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과 글루카곤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성장호르몬

갑상선에서 분비되는 티록신 호르몬,

부신피질에서 분비되는 당질코르티코이드(코르티죤), 

부신수질에서 분비되는 아드레날린이 있다

이들 중에서 오직 인슐린만 혈당을 낮추는 호르몬이고 

나머지는 모두 혈당 증가 호르몬이다.

 

이제부터 그림을 보면서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높은 혈당이 되면

 

췌장에서는 인슐린을 분비한다.

 

인슐린은 간이나 근육으로 가서 포도당을 글리코겐으로 합성하고 콩팥의 세뇨관에 가서 포도당을 여과하는 데 도움을 준다. 그리고 모든 조직의 세포에게 가서 세포막으로 하여금 포도당을 흡수하도록 하여 혈당을 감소시킨다.

 

위와 같이 인슐린은 혈당을 감소시킨다.

 

그러기에 당뇨병 환자들이 인슐린 주사를 맞는다.

 

혈당이 낮아지면

 

췌장에서는 글루카곤을 분비한다.

 

글루카곤은 간으로 가서 저장된 글리코겐을 포도당으로 분해하여 혈당을 증가시킨다.

 






그림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성장호르몬은 시상하부에서 분비하라는 호르몬이 뇌하수체 전엽에 도착하면 분비된다.

 

성장호르몬은 수용체가 있는 세포로 가서 에너지원인 포도당을 이용하여 아미노산을 섭취해서 단백질을 합성하게 하여 세포분열을 촉진하고 자라게 한다.

 

성장호르몬은 간으로 가서 포도당의 생산을 증가시킨다. 그래서 포도당이 너무 많아져 혈당이 증가하면 그 신호가 췌장으로 가서 인슐린을 분비하도록 한다. 인슐린의 작용으로 저혈당이 되면 다시 성장호르몬을 생산한다

 

성장호르몬은 지방세포에게 가서 지방산을 흡수해서 지방세포를 키우고 한편 지방상을 간으로 보내고 그 지방산은 다시 근육으로 간다. 근육에서는 지방산을 섭취 이용하여 단백질을 합성하여 근육이 커진다.

 


 

















체온이 낮아지면

 

갑상선에서는 티록신을 분비한다.

 

티록신은 근육, 심장, , 신장으로 가서 신진대사를 촉진해서 열을 생산하게 한다.

 

그래서 체온이 상승하면 티록신을 적게 분비하도록 한다.

 

또한 티록신은 모든 세포에게 포도당, 단백질, 지방 대사를 촉진시킨다.

 

즉 갑상선 호르몬인 티록신은 포도당을 증가시켜 혈당을 높인다.

 



 

















스트레스가 쌓이면

 

부신피질에서는

 

당질코르팈코이드 즉 코르티죤을 생산한다.

 

이 호르몬은

 

근육으로 가서 아미노산을 빼낸다. ‘

 

지방세포에게 가서는 지방산을 유리시킨다.

 

간에서는 아미노산은 탈아미노작용을 거쳐 유기산이 된다.

 

지방산과 유기산은 포도당으로 합성을 한다.

 

고로 코르티죤은 혈당을 증가시킨다.

 

그래서 스트레스가 쌓이면 야윈다.

우리가 춥다던가, 타려는 차가 막 떠나려 할 때, 화가 날 때, 그리운 사람이 저 멀리 가고 있을 때, 적을 만났을 때, 등 위급상황에 처하면 부신수질에서는 아드레날린이 분비된다. 아드레날린은 혈당량을 증가시켜서 근육에 공급한다. 그래서 우린 이런 위급상황에 닥치면 기운 없다가도 걸음아 나 살려다오 하고 뛰거나 도망가고, 추우면 떨고, 화가 나면 인상을 쓰고 난폭해진다. 이러려면 에너지가 필요하여 혈당을 증가시킨다.

 

즉 아드레날린은 위급상황에 대처하기 위해서 혈당을 증가시킨다. 혈당이 갑자기 오르면 급성당뇨병에 걸리기도 한다.




이렇게 우리 몸에서는 그때그때 상황에 따라 여러 가지 호르몬이 분비되어 혈당을 조절한다.

 

혈당을 감소시키는 호르몬은 인슐린뿐이다.

 

그래서 당뇨병 환자가 인슐린 주사를 맞는다.

 

혈당을 감소시키려면 움직이면 된다.

 

움직이면 에너지가 필요하고

 

우리들의 생활에너지원은 첫 번째가 포도당이다.

 

포도당 다음은 지방이고 그다음은 단백질이다.

 

그래서 운동하면 혈당이 떨어져서 당뇨병이 치료 된다.




 










또 하나 식이요법을 하는 거다.

 

혈당은 포도당이 혈액이 녹은 것이다.

 

그러니 포도당을 만드는 탄수화물의 섭취를 줄인다.

 

앞에서도 이야기했지만

 

단백질이나 지방으로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게 하는 것이다.

 

그래서 콩밥이 좋고 잡곡밥이 좋다.

 

현미는 겉에 호분립이란 단백질로 둘러싸여 열을 가하면 겉의 단백질이 응축되어 딱딱하여 맛을 별로이나 씨눈이 살아서 그 속에 각종 영양소가 풍부하다. 허나 소화가 잘 안 된다

단백질은 열을 받을수록 단단해지고, 탄수화물은 열을 받을수록 퍼져서 부드러워진다. 그래서 겉이 단백질로 된 현미밥이 단단하고 더 열을 가하면 갈라져서 속의 녹말이 터져 나온다. 백미밥은 겉에 단백질이 없고 녹말로 되어서 그냥 열을 받으면 짜왁 퍼져서 먹기에 좋다.

 

그러나 겉의 단백질도 각종 비타민과 무기질의 보고인 씨눈도 벗겨져 나간 백미는 대부분 녹말로 되어있다. 녹말은 소장에서 100% 포도당을 만들어 혈액으로 들어간다.

 

옛날에 소화도 잘 되고 영양소도 많이 붙어 있는 칠부도미가 나왔었는데 지금은 눈에 띠지 않는다.

 

유럽의 여러 나라에서는 흰밀가루가 건강에 안 좋다고 정부에서 통밀가루를 만들도록 했다. 맛없어도 국민은 잘 먹어 성인병이 적다.

 

혈당이 높은 사람에게는 백미는 적이다.

그러나 백미콩밥에 여러 종류의 반찬을 밥보다 더 많이 먹으면 된다.

 

혈당을 조절하는 호르몬은 우리 마음대로 할 수가 없다.

 

그러나

식사요법이나 운동요법은 우리가 할 수가 있다.

건강할 때 건강을 지키고 싶으면 아주 쉬운 방법이 있다.

 

주변 환경 변화가 심해도 흥분을 갈아 앉히고 마음을 편안하게 하여 스트레스를 줄이고, 

먹는 것 조심하고 움직이면 터무니 없이 증가하는 혈당 증가를 막을 수 있다.

 

2023년 8월 22일 화요일

부신피질은 항염증과 항알레르기 호르몬과 성호르몬 분비.The adrenal cortex secretes anti-inflammatory and anti-allergic hormones and sex hormones.

 


















 

부신피질에서 생산하는 호르몬은 성호르몬과 같은 스테로이드 호르몬이다.

스테로이드는 콜레스테롤로 만들어진다

콜레스테롤 하면 먹어서는 해가 되는 영양소로 생각한다

그런데 어쩌랴 그걸로 성호르몬도 만들고 부신피질 호르몬도 만드는 데야 먹어 주어야지.....문제는 과잉 섭취가 문제다. 

우리들의 간에서도 콜레스테롤은 만들어진다. 하지만 그 양이 부족하여 음식으로 섭취를 한다.

 

부신피질은

뇌하수체에서 생산한 부신피질자극호르몬이

 도착하여야 부신피질 호르몬을 분비한다.

 

부신피질에선 세가지 호르몬이 생산된다.

코르티죤과 알도스테론과 안드로겐이다.


코르티죤은

단백질과 지방으로 당을 생산 시키는 호르몬이다.

당질코르티코이드라고도 부른다.


그림을 보면 

코르티죤이 단백질과 지방을 분해시켜서 포도당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볼 수가 있다

근육을 이루는 근세포에서 아미노산이 소실되면 근육이 작아진다

이 아미노산은 간으로 가서 포도당으로 만들어진다.. 

지방세포에서 지방산이 나온다

지방산도 당으로 만들어진다

즉 코르티죤은 단백질과 지방으로 당을 만드는 일을 한다.

 

이야기 하나 하면

오래 전 이야기인데 산에서 실종 된 아이들이 동굴 속으로 들어가 

10일이었던가 그 이상으로 버티고서 구출이 되었는데 피골(皮骨)이 상접해 있었다.

피골이 상접했다는 말이 무엇인가 살가죽과 뼈가 서로 붙어 있다는 말이다

즉 살갗과 뼈 사이에 있는 근육이 없어졌다는 뜻이다.

어떻게 된 일인가그것은 이렇다

우리 몸의 에너지원은 3대 영양소다

밥이나 빵 속에 많은 탄수화물은 에너지원으로 거의 사용된다

단백질과 지방은 에너지원이면서 체구성 물질이다.

아이들이 가만히 서로 몸을 대고 누어있었다

움직이지 않더라도 체온을 유지하고 오장(허파,심장,간,지라,신장)이 활동을 하려면 에너지가 필요하고 열이 필요하다

밥을 못 먹으니 탄수화물로 생활에너지의 원료로 사용 할 수는 없고 

이 때부터 근육을 만드는 단백질에서 아미노산을 꺼내고 

지방세포에서 지방산을 꺼내서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였기에 

근육도 지방도 모두 없어져서 피골이 상접한 거다

발견 될 당시 너무 탈진하여 살 수 있을까 걱정 했지만 

전국민의 관심이 쏠리고 있는 아이들이라서 의료진들이 최선을 다해서 살렸다고 하였다 


우리들이 오래 걸으면 지방이 빠진다고 하는데 

바로 그 때 지방세포에서 지방산을 유리 시켜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게 하는 것이 코르티죤이다

지방세포에서 지방산이 빠지면 지방세포가 쫄아서 비갯살이 빠진다.


코르티죤은 우리 몸의 염증이 생기는 것을 막아 주고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나지 못하게 막아주는 역할을 해서 

이 스테로이드 호르몬인 코르티죤을 연고에 많이 넣어서 치료 약으로 만든다

이 스테로이드 연고는 치료는 잘 되지만 많이 사용하면 몸에 나쁘다부작용이 온다.


 










위 그림은 부신피질에서 생산하는 무기질 코르티코이드의 작용을 나타낸다.

무기질 코르티코이드를 알도스테론이라고 부른다.

알도스테론은.

나트륨과 염소와 칼륨의 혈중 농도를 조절 시키는 호르몬이다.


부감상선이 혈중의 칼슘 양을 조절 하듯이

 

부신피질은 혈중의 나트륨염소,칼륨의 양을 조절한다.

 

알도스테론은 콩팥에서 나트륨을 재흡수한다.

 

만약에 부신피질이 잘 못되거나 뇌하수체가 잘못 되어 알도스테론이 분비되지 않는다면 혈중의 나트륨을 조절 하지 못해서 죽는다..

 

우리 몸의 체액은 0.9% 소금물과 같다.

 

그러기에 우린 반찬에 소금을 넣어 먹는다

 

소금은 우리 몸에서 필수적인 물질이나 이것도 과잉 섭취하면 동맥경화 고혈압을 가져온다무엇이든 적당히 .......

 

안드로겐은

남성호르몬인데 남성에게서 생산되는 남성호르몬의 1/50 정도여서 별로 신경 안 쓴다

부신피질에서는 남자나 여자나 다 안드로겐을 생산한다.


 

적혈구의 산소운반. 빈혈증의 이유

  적혈구의 산소운반, 빈혈증의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