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모세혈관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모세혈관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3년 9월 21일 목요일

머리가 가벼운 것은 뇌척수액에 떠있기 때문이다. The reason the head is light is because it floats in the cerebrospinal fluid.

 




 









우리 머리통 속에는 뇌가 여러 개 들어있다.

대뇌, 소뇌, 간뇌, 중뇌가 있다. 

이들 뇌 사이에는 틈새가 있고 비었고 이곳을 뇌실이라 한다.

그림에서 보듯이 뇌실이 여러 개 있다.

뇌실 내벽의 일부분에는 모세혈관이 밀집된 맥락총이 있다.

동맥과 정맥에는 틈새가 없지만 모세혈관은 일 층의 세포로 되어 있어

세포 사이에 미세한 틈새가 있다. 

이 틈새로 혈액 속의 액체 성분인 혈장이 빠져 나와 뇌척수액이 된다.

맥락총은 모세혈관이 얼기설기 밀집되어 혈장이 많이 빠져 나와 뇌축수액이 된다.

뇌척수액은 뇌와 척수 주변을 돌아 순환한다.

뇌척수액이 순환하면서 뇌와 척수에 영양소와 산소와 필요한 물질을 공급하고

뉴런들이 내놓은 물질을 치워준다.

뇌는 1.4킬로나 되는 무게지만 뇌척수액에 떠 있어 부력을 받아 무겁지 않다.









뇌척수액은 뇌실을 순환하고 지주막 하강으로 들어가 융모에 흡수되어

경막 등의 혈액 속으로 재흡수된다.


더 쉽게 할머니와 손녀의 대화체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세나야! 뇌의 무게가 얼만 지 아니?”

 

가볍지 않나요?”

 

“1,400g이지.”

 

그렇게 많이 나가요.”

 

그런데 평소에 무겁다는 걸 느낄 수 있니?”

 

하나도 무겁지 않아요.”

 

그건 부력을 받기 때문이지.”

 

부력은 물속에 있을 때 물이 떠 받쳐 주는 힘이잖아요.”

 

뇌도 물속에 떠 있거든.”

 

뇌가 물속에 떠 있어요?”

 

뇌척수액에 떠 있어.”

 

뇌척수액이 지주막하와 뇌실과 척수를 순환한다고 하셨어요.”

 

그래. 뇌척수액이 하는 일이 많아.”

 

어떤 일을 하는데요?”

 

부력, 완충작용, 노폐물과 호르몬 운반 등의 일을 해.”

 

부력은 뇌를 떠 받쳐 주어 우리로 하여금 가볍게 해 주고요.”

 

완충작용은 뇌는 흐물흐물해서 외부충격에 약한데 보호해 주어.”

 

노폐물과 호르몬은 어디서 생긴 거예요?”

 

노폐물은 뇌는 세포로 되었고 세포들이 살아가면서 내어놓는 생활 쓰레기야 그걸 뇌척수액이 치워주어.”

 

그럼 뇌척수액이 뇌와 척수의 청소부네요.”

 

우리 몸의 청소부는 혈액과 림프액과 뇌척수액이지.”

 

호르몬은 어디서 나온 거예요?”

 

뇌세포들이 만든 호르몬이지.”

 

뇌척수액은 어디서 생겨요?‘

 

뇌실의 맥락총에서 생산해.”

 

맥락총이 뭐예요?”

 

모세혈관이 치밀하게 모여 있는 곳을 말해.”

 

모세혈관에서 뇌척수액을 어떻게 만들어요?”

 

동맥과 정맥에는 없지만 모세혈관에는 미세한 구멍이 있어.”

 

미세한 구멍이 어떻게 생겨요?”

 

모세혈관은 일 층의 세포로 되어 세포 사이에 미세한 구멍이 있어. 혈액의 액체 성분인 혈장이 빠져나와.”

 

뇌실 속의 맥락총을 이루는 모세혈관에서 빠져나오는 혈장이 뇌척수액이네요.”

 

“혈장에는 뉴런에게 필요한 많은 물질이 들어있지.”

 

2023년 8월 30일 수요일

오줌 만들기에 참여하는 호르몬들. Hormones involved in urine production

 


오줌은 혈액을 청소시켜 만들어진다.

 즉 신장(콩팥)은 혈액 청소기다.

 

우리가 청소할 때 먼지를 털어내고 쓰지 않는 것을 버리듯이 콩팥은 혈액 속의 노폐물을 버리고 기준치 이상의 영양소도 걸러내고 사용하고 남은 호르몬 등도 버린다. 또한 언제나 혈액의 농도가 일정하게 삼투압 조절을 한다.

 

우리 몸을 이루는 기본단위는 세포다.

 

오줌을 걸러내는 단위는 네프론이다.

 

하나의 콩팥 속에는 네프론이 일백만개가 있다.

 

우린 두 개의 콩팥을 가지니 이백만 개의 네프론이 있다.

 

하나의 네프론은 사구체와 보우만주머니와 세뇨관으로 구성된다.

 

사구체와 보우만주머니를 말피기소체라고 한다.

 

말피기란 사람이 사구체를 먼저 발견했고 나중에 보우만씨가 사구체를 둘러싼 주머니를 발견했다.

 

사구체는 혈액을 여과시켜서 오줌의 묽은 원액을 만드는 곳이다.

 

사구체는 모세혈관 덩어리로 아주 작은 구멍이 있는데 이 구멍을 통과하는 물질은 무조건 걸러진다.

 

사구체에서 걸러진 묽은 오줌의 원액은 보우만주머니로 빠진다.

 

보우만주머니에는 세뇨관으로 이어지는 구멍이 있다.

 

보우만주머니로 나온 묽은 오줌 원액은 세뇨관의 구멍을 통해서 세뇨관으로 들어간다.

 

그림을 보면 세뇨관 둘레에는 사구체를 돌고나온 모세혈관이 칭칭 감고 있는 것이 보인다. 세뇨관을 둘러 싼 모세혈관은 사구체에서 빼앗긴 물과 필요한 영양소를 다시 흡수하고 사구체에서 다 버리지 못하고 남은 노폐물과 남아도는 영양소를 버리겠다고 사구체를 둘러싸고 있다.

 

세뇨관과 모세혈관 사이에서의 재흡수와 재분비 작용은 에너지가 소모되는 능동수송으로 일어난다.


 


 

 













그림을 보면서 설명하면

 

수입세동맥으로 들어 간 혈액이 사구체를 통과하면서 우리 몸에 필요하던 안하던 상관없이 무조건 저분자물질을 여과시켜서 보우만주머니로 내 보낸다.

 

세뇨관에서 부신피질에서 분비된 알도스테론호르몬은 나트륨 흡수를 촉진한다. 알도스테론을 무기질코르티코이드라고도 부른다.

 

뇌하수체후엽에서 분비된 바소프레신 호르몬은 집합관에서 물의 재흡수를 촉진해서

 

오줌양을 줄이기 때문에 항이뇨 호르몬이라고도 불린다.

 

바소프레신은 혈액 속에 수분이 많을 때 분비가 억제되고 수분이 부족할 때 촉진된다.

 

즉 바소프레신이 많이 분비되면 오줌 양이 적어지고 적게 분비되면 오줌 양이 많아진다.

 

우리가 잠잘 때 오줌이 덜 마려운 것은 바로 바소프레신이 많이 분비되기 때문이다.

 

부갑산선에서 분비된 파라트로몬 호르몬은 세뇨관에서 칼슘의 재흡수를 촉진한다.

비타민 D도 칼슘의 재흡수를 돕는다.

 

그림을 보면 헨리고리가 있다.

헨리고리는 헨리가 발견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곳에선 오줌을 4배로 농축시킨다.

 

하루에 생산되는 오줌의 묽은 원액이 160리터 정도라면 오줌으로 만들어지는 양은 1.5맅터다.

2023년 7월 14일 금요일

조직액이 제대로 흐르지 못하면 붓는다. If tissue fluid does not flow properly, it swells.

 












살갗이 벗겨지면 연 노란 진물이 흘러나온다.

연 노란 진물은 조직액이다.

조직액은 조직 속을 흐른다.

조직은 똑같은 세포들이 똑같은 목적으로 살고 있는 동네다.

예를 들면 근조직은 근세포들이 모여 사는 곳이다.


살갗이 심하게 벗겨지면 피가 난다.

피가 난다는 것은 혈관이 터졌다는 것이다.

피가 조금 나는 것은 모세혈관이 터진 것이다.

피가 나는 양에 따라 파괴된 혈관의 크기를 알 수 있다.

모세혈관은 조직 속에 거미줄처럼 뻗어있다.

조직 속으로 들어가는 혈관은 소동맥으로 모세혈관 보다 더 크다.

조직 속을 나오는 혈관은 소정맥으로 모세혈관 보다 더 크다.

조직 속으로 들어가는 소동맥은 여러 가닥으로 갈라져서 가는 모세혈관이 되어 세포들 사이를 뻗는다.

모세혈관은 일층의 세포로 되어있어 세포와 세포 사이에 미세한 구멍이 뚫려있다.

소동맥 쪽에서 모세혈관 속으로 혈액이 흐른다.

소동맥은 심장 쪽에서 흘러오는 혈액이 흘러서 혈압이 있어 모세혈관 속으로 혈액을 힘차게 밀어준다.

모세혈관 속으로 힘차게 흐르는 혈액은 모세혈관 벽에 뚫린 미세한 구멍을 통해 적혈구를 빼고는 대부분의 혈액의 액체 성분인 혈장이 빠져나와 조직액이 된다.

모세혈관을 빠져나온 혈장 속에는 세포들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영양소와 산소와 호르몬들이 들어있다.

많은 혈장을 빼앗긴 모세혈관 속 혈액은 소정맥 쪽으로 흐른다.

백혈구는 원하는 곳으로 헛다리(위족)를 만들어 낼 수 있어 주변에 세균의 냄새를 맡으면 모세혈관 구멍으로 빠져서 조직액 속으로 나와 세균을 잡아먹는다.


조직 속에는 모세림프관이 있다.

모세림프관 속에는 판막이 있고 끝에는 구멍이 있다.

모세림프관 구멍 속으로 빨려 들어간 조직액은 판막에 의해서 계속 속으로만 흘러간다.

조직액이 모세림프관 속으로 들어가면 림프액이 된다.

모세혈관 속의 혈장이 조직 속으로 나와 조직액이 되고,

조직액이 모세림프관 속으로 들어가 림프액이 된다.

즉 혈장과 조직액과 림프액은 품고 있는 성분비는 약간 다르나 다 같다.

다만 모세혈관에서 적혈구가 빠져나오지 못하므로 조직액과 림프액은 노란색이다.

모세림프관의 한쪽 끝은 조직 속에 열려 있다.

모세림프관은 서로 연결되어 조금 더 큰 림프관이 되기를 반복하여 큰 림프관이 되어 상대정맥에 연결된다.

조직액은 소정맥 쪽 모세혈관 속으로 스며들어간다.

왜냐하면 소동맥 쪽 모세혈관에서 조직 속으로 혈장이 많이 흘러나와 소정맥 쪽 모세혈관 속은 혈압이 조직액 보다 낮아서 조직액이 스며들어간다.

조직액은 조직 속을 흐른다.

소동맥 쪽 모세혈관에서는 옹달샘에서 물이 나오듯이 혈장이 빠져나와 조직액이 된다.

옹달샘의 물이 우리의 식수가 되듯이 소동맥 쪽에서 나온 조직액은 세포들의 먹이가 풍부하다. 산소와 영양소를 세포를 싸고 있는 세포막에서 흡수한다. 필요한 영양소가 세포 속 보다 조직액에 많으면 그냥 쉽게 들어간다. 만약에 필요한 영양소가 세포 속 보다 조직액 속에 적으면 세포막은 에너지(ATP=세포들의 현금) 사용하여 빨아들인다. 이렇게 세포들 이현금을 주고 사 들이는 것을 능동수송이라 한다.

세포들이 흘러가는 조직액 속의 산소와 영양소를 빨아들이고 세포들의 생활쓰레기인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을 내놓는다.

호르몬샘(내분비샘)에서 생산된 호르몬도 조직액 속으로 나온다.

그래서 소동맥 쪽에서 소정맥 쪽으로 조직액이 흘러갈수록 노폐물이 많아지지만 모세림프관이 계속 노폐물이 많은 조직액을 빨아들여 정맥 쪽으로 보내니 조직액은 더욱 빠르게 흐른다.

그러나 어떤 이유로 해서 조직액이 잘 흐르지 못하면 붓는다.





치질이 생기는 이유와 예방

  치질이 생기는 이유와 예방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