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엔돌핀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엔돌핀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3년 9월 1일 금요일

뇌에서 생산되어 뇌에서 활동하는 호르몬-도파민, 엔돌핀 등. Hormones produced in the brain and active in the brain - dopamine, endorphins, etc.

 

도파민 호르몬 화학구조식






앤돌핀을 이루는 아미노산 순서.
앤돌핀이 여러 종류다.










세로토닌 호르
몬 화학구조식.




멜라토닌 화학구조식.


할머니! 무엇이 우리를 즐겁고 기쁘게 하고 밤이면 잠들고 아침에는 깨어나게 하는가요?”

 

뇌에서 활동하는 호르몬이 그렇게 해.”

 

뇌에서 활동하는 그런 호르몬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뇌에서 생산되어 뇌에 작용하는 신경전달물질 즉 호르몬으로 도파민, 엔돌핀 외에 세로토닌, 멜라토닌이 있지.”

 

도파민에 관해 설명해 주세요?”

 

도파민을 생산하는 도파민 생산 세포들은 중뇌, 시상하부, 뇌교에 분포하는데 뇌교에 분포하는 도파민 신경세포가 퇴화하면 파킨슨병에 걸린다고 해.”

 

왜 그럴까요?”

 

뇌교는 대뇌와 소뇌를 연결하거든.”

 

도파민이 무슨 일을 하는데요?”

 

실행, 각성, 운동, 동기부여, 강화, 보상 등을 조절하는 일을 해, 만약, 우리가 운동하면 그 프로그램은 대뇌에 저장되고 소뇌는 그 프로그램을 대로 운동을 해.”

 

뇌교에 도파민 신경세포가 많은데 퇴화하면 대뇌와 소뇌가 연결 이 안 돼 운동능력과 인지능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파킨스병에 걸리는군요.”

 

또한, 도파민은 쾌감을 일으켜서 과다분비하면 환각을 일으키거나 정신분열을 일으키지.”

 

쾌감은 좋아하는 일을 할 때 느끼잖아요.”

 

맞아. 그래서 게임을 하면서 쾌감을 느끼면 나중에는 중독이 돼.”

 

중독되는 이유가 도파민의 영향 때문이군요.”

 

계속하는 일에 쾌감을 느끼게 되면 도파민은 더욱 분비되고 중독 이 되지.”

 

엔돌핀에 관해 설명해 주세요?”

 

엔돌핀이란 뇌에서 생산하는 몰핀이란 뜻이야.”

 

뇌에서 몰핀이 나온다는 것을 어떻게 알았나요?”

 

“1973년에 뇌에 몰핀 수용체가 있다는 것을 발견했어. 수용체가 있다는 것은 뇌에서 몰핀이 생산된다는 뜻이야. 그래서 연구를 계속해 밝혀냈지. ”

 

몰핀은 양귀비에서 추출한 마약이라고 들었는데요?”

 

맞아. 몰핀은 기분을 좋게 하는 진통제지.”

 

뇌에서 나오는 엔돌핀은 어떨 때 나올까요?”

 

스트레스로 고통을 받을 때 나와서 기분 좋게 하고 고통을 적게 해. 예를 들면 높은 산을 등산할 때 아기 낳을 때 진통이 극심할 때 엔돌핀이 나와 높은 산에 오르느라 힘들었어도 기분 좋고 아기를 낳느라 고통스러워도 아기를 보면 그냥 기쁜 거지.”

 

세로토닌에 관해서 설명해 주세요?”

 

세로토닌은 뇌에서 생산되는 여러 호르몬을 조절한다고 그래. 마치 연주자가 지휘하는 것처럼.”

 

세로토닌은 장()에서 생산한다고 하였는데요?”

 

맞아. 세로토닌은 뇌장호르몬이고, 장에서 70% 이상을 생산해. 시상하부에서 눈의 망막을 통해 햇빛이 들어가면 세로토닌이 생산되어 안정되고 편안해져. 따라서 세로토닌이 부족하면 우울증에 걸린다고 해. 장에서는 장크롬 친화성 세포에서 생산해.”

 

세로토닌은 아침에 잠을 깨는 호르몬이고 멜라토닌은 잠자게 하는 호르몬이네요.”

 

맞아. 세로토닌은 빛을 보면 생산되고 멜라토닌은 어두워지면 생산돼.”

 

멜라토닌에 관해서 설명해 주세요?”

 

멜라토닌은 송과선에서 생산되는 호르몬으로 수면을 유도해. 멜라토닌은 어두워야 생산되니까 잠을 자는 방은 어둡게 해야 해. 송과선을 생체리듬 시계라고 해. 다시 말하면 멜라토닌은 잠자게 하는 호르몬이고 세로토닌은 잠깨게 하는 호르몬. 아드레날린은 아침에 일어나 활동하게 하는 호르몬.”

 

. 옥시토신에 관해 설명해 주세요?‘

 

옥시토신은 모성애 호르몬이지. 뇌하수체 후엽에서 생산하고 아기를 낳고서 고통이 심해도 아기에게 신뢰감, 배려심, 안전감을 주고 젖을 분비하게 해.”

 

 



2023년 8월 24일 목요일

뇌하수체의 명령을 받지 않는 내분비샘과 내분비 기관. Endocrine glands and endocrine organs that do not receive orders from the pituitary gland.

 




세나야! 뇌하수체의 명령을 받지 않는 내분비샘이 있어.”

 

어떤 것들이 있나요?”

 

내분비샘으로는 부갑상샘, 부신수질이지.”

 

부갑상샘은 어떤 호르몬을 생산하나요?”

 

부갑상샘은 파라트로몬이라는 호르몬을 생산해.”

 

무슨 일을 해요?”

 

혈중에 칼슘이 부족하게 되면 뼈를 파괴해서 칼슘을 혈중으로 보내.”

 

부신수질은요?”

 

아드레날린을 생산하는데 자율 신경의 교감신경의 영향을 받아.”

 

화날 때 즉 우리 몸이 비상 상태가 되면 분비된다는 아드레날린이지요?”

 

맞아. 내분비샘이 아닌데도 호르몬을 생산하는 내분비기관이 있어.”

 

내분비 기관이요?”

 

내분비 기관으로는 위, 창자, 콩팥, 심장, 지방 조직, , , 신장 등이 있어.”

 

뇌에서는 어떤 호르몬이 나와요?”

 

도파민, 세로토닌, 멜라토닌, 앤돌핀 등이 있어.”

 

심장에서는요?”

 

신장에서 오줌을 적게 내 보내 혈액량이 많아져 혈압이 높아지면 우심방벽이 압력을 심하게 받으면 심방나트륨이뇨인자 호르몬을 분비하면 신장에서 오줌을 많이 배출해서 혈액량을 줄여서 심장벽이 압박을 덜 받게 되겠지.”

 

간에서는요?”

간에서는 호르몬들이 혈액으로 이동 될 때 알부민 보자기에 싸여서 이동하는데 그 알부민을 생산하고 인슐린과 글리카곤 등 호르몬들이 활동하는 곳이지.”

 

위장관에서는요?”

 위에서는 가스트린, 십이지장에서는 세크리틴, 소대장에서는 세로토닌을 생산해.”

세로토닌은 뇌에서 생산한다고 하셨는데요?”

세로토닌은 뇌와 장에서 생산되어 뇌장관 호르몬이라고 해.

 

지방은요?”

 지방 조직에서는 식욕과 관계있는 렙틴과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을 생산해.”

 

뇌하수체의 조절을 받지 않는 호르몬 분비는 무엇이 조절하나요?”

자율신경의 지배를 받거나 혈중 농도의 피드백, 또는 삼투압으로 조절될 거야.”

적혈구의 산소운반. 빈혈증의 이유

  적혈구의 산소운반, 빈혈증의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