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식도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식도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3년 7월 21일 금요일

과식후에 가슴이 계속 아픈 이유. Why does my chest continue to hurt after eating too much?

 






식도의 끝이 위의 앞문인 분문에 연결된다.

식도는 가로막(횡격막)을 뚫고 내려가 위의 분문과 연결된다.

가로막은 질긴 근육으로 되었고 가슴속과 배속 사이를 가로로 쳐져 있어 가로막이다.

가로막 위는 가슴속이고 아래는 배속이다.


식도의 끝은 위의 앞이다.

식도는 삼킨 음식이 위로 내려가는 길이다.

위는 먹은 음식을 염산을 분비해 소화를 시킨다.

위에서는 염산이 분비되기 때문에 위 내벽의 점막에서는 

음식이 들어오면 바로 염산에 녹지 않는 점액을 분비한다. 

그러나 식도에서는 염산에 녹지 않지 않는 점액이 분비되지 않는다.

우리가 과식을 하면 위가 팽창하고 위가 연동운동을 하면 위의 앞문이 제대로 닫치지 않아 염산에 절여진 위의 내용물이 식도로 올라온다.

식도는 염산에 무방비 상태인 식도 내벽은 할퀴어 상처를 입어 왼쪽 가슴이 쓰린다.

위는 가로막 아래 왼쪽 위쪽에 있다.

계속 과식을 하면 위산과다증이 생기고 식도는 헐어 식도염이 되고 나중에는 식도암으로 발전한다.


과식은 금물이다.








2023년 7월 20일 목요일

식도는 위(胃)로 내려가는 길이다. The esophagus is the path that goes down to the stomach.

그림은 소화관.











식도는 입속의 음식이 위로 내려가는 길이다.

입 속의 음식이 식도로 가려면 인두를 거쳐야 한다. 인두는 목구멍의 앞과 뒤 옆을 통틀어 말한다. 인두는 깔때기 모양이다. 길이가 12cm다. 인두의 아래 부분은 식도와 연결된다. 

 

식도는 근육으로만 되었다. 그 길이가 얼마냐면 23~25cm다. 식도는 위로 가기 위해서 윗부분 절반은 척추(흉추)와 기관 사이로 내려간다, 아랬쪽 절반은 심장을 싸는 주머니인 심낭 뒷벽에 닿아서 내려간다. 여기서는 흉추(가슴등뼈)와 식도 사이에 심장에서 뻗어 나온 대동맥이 끼어 있다. 대동맥을 따라 내려 온 식도는 횡격막을 뚫고 위의 앞문인 분문과 연결한다.  


근육으로 된 식도는 상부 1/3은 골격근 (횡문근)으로 되어서 우리가 금방 먹은 것을 뱉어 낼 수 있게 해 준다. 골격근이란 우리 마음대로 움직이는 근육으로서 무뉘가 가로로 있다해서 횡문근이라고도 한다. 골격이란 뼈대를 말하는데 대체로 뼈에 붙어 있어서 우리 마음대로 움직일 수 있는 근육을 말한다. 그러나 식도에는 뼈가 없지만 뼈대근 처럼 우리의 대뇌의 명령을 받는다. 우리가 잘못 먹으면 얼른 뱉기도 하고 음식을 삼키기도 할 수 있다. 우리가 의식적으로 꼴딱 삼킬 수 있는 것은 식도의 상부에 있는 골격근 때문이다.그러나 식도의 하부 2/3는 우리 마음대로 움직이지 않는 평활근으로 되어 있다.

 

입 속에서 씹혀진 음식이 인두를 지나 식도를 거쳐 위로 가는 것은 연하작용이다. 식도가 연동운동을 해서 그걸 아래로 내려 보내기에 연하작용이다. 연동운동은 잘룩잘룩 연속적으로 식도가 부분적으로 수축되었다가 이완되었다가 하는 운동이다. 쭈쭈바 먹을 때 쭉~ 쭉 밀어내는 것과도 같다. 다만 쭈쭈바는 아래에서 위로 밀어 올리지만 식도는 위에서 아래로 밀어내는 운동이다. 그래서 연하운동이다.

 

 

님들이 먹어봐서 알지만 우리가 음식을 삼킬 때는 거의 무의식적으로 그냥 막 넘어 가지요. 아무 생각 없이 ….그건 삼킴 중추가 연수에 있어서다. 우리가 꼴딱 삼키면 그 자극이 연수의 삼킴 중추에 전달되어 복잡한 연하과정이 예정된 프로그램에 의해서 무의식적으로 진행된다.

 

 

그럼 우리는 하루에 몇 번이나 연하운동을 할까?

24시간 동안 600번 연하를 하는데, 보통 식사 중에 200번, 깨어 있는 상태에서 350번, 수면 중에 50번을 한다. 지금 침을 꼴딱 삼켜 보라. 그럼 연하작용이 한번 일어난거다.

 

 

우리가 먹은 음식이 위에 도달하는 시간은 얼마쯤 걸릴까?

물을 마시면 1초 후면 위에 도착하고, 점성 즉 끈적한 음식을 먹으면 5초 후에 위에 도달하고, 고형의 알맹이를 먹으면 9~10초 후에 위에 도달한다.

식도 끝에는 괄약근이 있는데 위(胃)에서 보면 앞문이다. 

 

식도 안쪽 벽에는 점액선이 있어서 약간의 점액이 흘러 나와 식도 안쪽 벽을 적셔 주어 지나는 음식덩어리가 부드럽게 잘 지나가도록 해준다. 그런데 나이가 들면 이 점액의 분비가 적어서 음식이 잘 내려가지 않는다. 그래서 노인네 밥상에는 국물이나 아니면 김치 국물 아니면 맹물이라도 한 공기 올려 놓아야 한다. 식사 하시기 전에 한 모금 마셔 식도를 적셔 음식이 잘 넘어가게 하기 위해서다. 

 

★위로 가면서 내려가는 것은 무엇이냐고 시험에 나오거나 퀴즈에 나오면 그 답은 “식도”입니다.  여기서 위는 밥통 위(胃)지, 위치를 말하는 것이 아니니까요. 

2023년 7월 17일 월요일

먹고 숨 쉴 때 목젖과 후두개가 하는 일. What the uvula and epiglottis do when eating and breathing.

 


그림에서 목젖이라고 쓴 글씨 왼쪽에 젖꼭지처럼 나온 것이 목젖이다.

그림에서 목젖을 구개수라고 한다.








그림의 왼쪽을 보면 음식을 삼키고 입을 다물면, 목젖이 목구멍을 막고, 목구멍 아래 식도와 기도 입구를 지날 때 후두개가 기도 입구를 막고 있다가 음식이 지나면 다시 후두개가 기도 입구를 열어 준다. 



먹을 때 목젖이 잘못하면 먹은 물이나 음식이 코로 나오기 쉽다.

사례 들리는 것은 후두개의 잘못이다.

목구멍 아래는 기도와 식도로 가는 입구가 있는 후두다.

기도로 들어가는 후두입구에는 후두개라는 뚜껑이 있고, 

식도 입구는 근육으로 되어 보통 때는 닫혀있다가 음식이 들어가면서 열린다.


후두에는 후두개라는 뚜껑이 있다. 

후두개는 자동문이라서 음식이 지나가면 자동으로 내려와서 후두 입구를 막아 버린다. 

음식이 지나가 버리면 후두개는 얼른 고개를 들어서 후두 입구가 열려 공기가 들어간다. 

음식이 목구멍을 지나면 바로 후두개를 밀어 아래로 쳐지게 해서 후두입구를 막아 버리게 만들어졌다. 그리고는 음식이 지나면 자연적으로 바로 얼른 후두개는 고개를 들어 후두 입구를 열어 놓는다. 그래서 어른들은 게걸스럽게 밥을 먹는 것을 보면”숨이나 쉬고 먹어라” 한다. 

즉 음식을 먹을 때는 숨을 못 쉬고, 숨을 쉬려면 먹을 수가 없다.

 

 

목젖은 목구멍으로 넘어 간 음식이 다시 입 속으로 거슬러 나와 뒤코구멍 속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아 주는 일을 한다.

우리가 먹은 음식이 씹혀져서 목구멍을 지나면 목젖이 거슬러 올라오지 못하게 막아 준다. 

목젖이 임무를 태만히 하다가 목구멍 아래 후두로 넘어 가던 음식이 거슬러 올라오면 뒤코구멍 속으로 들어간다. 실제로 물이나 음식을 먹다가 콧속으로 들어 간 경험을 하신 님도 계실거다. 목젖 덕분에 우리가 누워서 음식을 먹어도 콧속으로 들어가지 않고 목구멍으로 잘 넘어간다.

 

 

후두개는 기관 속으로 물이나 음식이 들어가는 것을 막아 준다.

우리들의 앞 목 속에는 두 줄의 관이 세로로 지난다. 하나는 기관이고 하나는 식도다. 

기관은 공기가 지나는 길이고, 식도는 음식이 지나는 길이다. 기관은 연골로 되어 외부 충격이 가해져도 빳빳해서 쭈그러지지 않아 막히는 일이 없다. 막히면 우린 숨 막혀 죽는다. 식도는 근육으로 되어 음식이 지나지 않을 때는 앞뒤가 납작하게 붙어 있다. 

기관이 바깥쪽에 있고 식도는 기관의 뒤에 있다. 

기관과 식도의 차이를 알고 싶으면 닭을 요리 할 때 잘린 목을 잘 보면 기관과 식도를 금방 알 수 있다. 원래 생물 실험은 부엌에서 음식을 만들며 하는 것이 이해하기도 외우기도 쉽다.

 

 

앞에서도 말했듯이 음식이 목구멍으로 들어가면서 후두개를 밀어 후두 입구를 닫는다. 만약에 후두개가 잘못되어 음식이나 물이 조금이라도 후두 속으로 들어가면  우린 그것들이 기관이나 허파로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서 재채기를 하고 심하면 사례가 들린다. 사례가 들리는 것은 후두로 들어간 이물질을 뱉어 내기 위한 일련의 비상사태다.

 

오랫동안 물을 마시지 못하고 먼 길을 걸으면 목이 탄다. 

목이 탈 때는 후두개도 말라서 작동이 제대로 되지 않게 되어 마신 물이 후두을 거쳐 기관으로 들어 가기 쉽다. 그럴 때는 천천히 조금씩 물을 마셔야 후두개가 적셔져서 후두를 잘 막을 수가 있어 기관으로 물이 들어가지 않는다.


적혈구의 산소운반. 빈혈증의 이유

  적혈구의 산소운반, 빈혈증의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