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후두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후두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3년 7월 17일 월요일

먹고 숨 쉴 때 목젖과 후두개가 하는 일. What the uvula and epiglottis do when eating and breathing.

 


그림에서 목젖이라고 쓴 글씨 왼쪽에 젖꼭지처럼 나온 것이 목젖이다.

그림에서 목젖을 구개수라고 한다.








그림의 왼쪽을 보면 음식을 삼키고 입을 다물면, 목젖이 목구멍을 막고, 목구멍 아래 식도와 기도 입구를 지날 때 후두개가 기도 입구를 막고 있다가 음식이 지나면 다시 후두개가 기도 입구를 열어 준다. 



먹을 때 목젖이 잘못하면 먹은 물이나 음식이 코로 나오기 쉽다.

사례 들리는 것은 후두개의 잘못이다.

목구멍 아래는 기도와 식도로 가는 입구가 있는 후두다.

기도로 들어가는 후두입구에는 후두개라는 뚜껑이 있고, 

식도 입구는 근육으로 되어 보통 때는 닫혀있다가 음식이 들어가면서 열린다.


후두에는 후두개라는 뚜껑이 있다. 

후두개는 자동문이라서 음식이 지나가면 자동으로 내려와서 후두 입구를 막아 버린다. 

음식이 지나가 버리면 후두개는 얼른 고개를 들어서 후두 입구가 열려 공기가 들어간다. 

음식이 목구멍을 지나면 바로 후두개를 밀어 아래로 쳐지게 해서 후두입구를 막아 버리게 만들어졌다. 그리고는 음식이 지나면 자연적으로 바로 얼른 후두개는 고개를 들어 후두 입구를 열어 놓는다. 그래서 어른들은 게걸스럽게 밥을 먹는 것을 보면”숨이나 쉬고 먹어라” 한다. 

즉 음식을 먹을 때는 숨을 못 쉬고, 숨을 쉬려면 먹을 수가 없다.

 

 

목젖은 목구멍으로 넘어 간 음식이 다시 입 속으로 거슬러 나와 뒤코구멍 속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아 주는 일을 한다.

우리가 먹은 음식이 씹혀져서 목구멍을 지나면 목젖이 거슬러 올라오지 못하게 막아 준다. 

목젖이 임무를 태만히 하다가 목구멍 아래 후두로 넘어 가던 음식이 거슬러 올라오면 뒤코구멍 속으로 들어간다. 실제로 물이나 음식을 먹다가 콧속으로 들어 간 경험을 하신 님도 계실거다. 목젖 덕분에 우리가 누워서 음식을 먹어도 콧속으로 들어가지 않고 목구멍으로 잘 넘어간다.

 

 

후두개는 기관 속으로 물이나 음식이 들어가는 것을 막아 준다.

우리들의 앞 목 속에는 두 줄의 관이 세로로 지난다. 하나는 기관이고 하나는 식도다. 

기관은 공기가 지나는 길이고, 식도는 음식이 지나는 길이다. 기관은 연골로 되어 외부 충격이 가해져도 빳빳해서 쭈그러지지 않아 막히는 일이 없다. 막히면 우린 숨 막혀 죽는다. 식도는 근육으로 되어 음식이 지나지 않을 때는 앞뒤가 납작하게 붙어 있다. 

기관이 바깥쪽에 있고 식도는 기관의 뒤에 있다. 

기관과 식도의 차이를 알고 싶으면 닭을 요리 할 때 잘린 목을 잘 보면 기관과 식도를 금방 알 수 있다. 원래 생물 실험은 부엌에서 음식을 만들며 하는 것이 이해하기도 외우기도 쉽다.

 

 

앞에서도 말했듯이 음식이 목구멍으로 들어가면서 후두개를 밀어 후두 입구를 닫는다. 만약에 후두개가 잘못되어 음식이나 물이 조금이라도 후두 속으로 들어가면  우린 그것들이 기관이나 허파로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서 재채기를 하고 심하면 사례가 들린다. 사례가 들리는 것은 후두로 들어간 이물질을 뱉어 내기 위한 일련의 비상사태다.

 

오랫동안 물을 마시지 못하고 먼 길을 걸으면 목이 탄다. 

목이 탈 때는 후두개도 말라서 작동이 제대로 되지 않게 되어 마신 물이 후두을 거쳐 기관으로 들어 가기 쉽다. 그럴 때는 천천히 조금씩 물을 마셔야 후두개가 적셔져서 후두를 잘 막을 수가 있어 기관으로 물이 들어가지 않는다.


적혈구의 산소운반. 빈혈증의 이유

  적혈구의 산소운반, 빈혈증의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