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쓸개즙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쓸개즙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3년 7월 28일 금요일

쓸개(담낭)를 떼고도 살 수 있는 이유. Why you can live even after having your gallbladder removed.

 

그림을 보면 간 아래 쓸개(담낭)이 있고 

그 아래 십이지장이 있다.




쓸개주머니를 보통 그냥 쓸개라고 하고 담낭이라고도 한다. 

쓸개는 간에서 내려온 쓸개즙을 농축시키는 주머니다.

쓸개즙은 간에서 생산해서 담관을 타고 쓸개주머니로 내려온다.

쓸개는 쓸개즙을 보관하면서 농축시킨다.

쓸개는 십이지장으로 위속의 염산에 쩌든 강산죽이 내려오면 

즉시 수축하여 십이지장으로  품고 있는 쓸개즙을 배출한다.

쓸개즙에는 소화효소는 없다.

쓸개즙은 지방을 분해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쓸개즙은 물에 녹지 않는 지방 덩어리를 녹여 물에 녹는 유화지방으로 분해한다.

그래서 지방을 많이 섭취하면 쓸개즙이 많이 배출된다.

쓸개즙은 지방을 분해하니 우리 몸속의 비누다.

우리가 기름진 음식을 많이 먹으면 쓸개즙이 많이 십이지장으로 내려가

대장에 이르면 대장벽을 이루는 세포벽에 있는 세포의 세포막을 녹여 상처를 입히고

심하면 암을 유발한다. 그래서 육식을 많이 하면 대장암의 발생률이 높아진다고 한다.

세포막은 지질과 단백질로 되었다.

다이어트 한다고 오랜기간 식사량이 너무 적으면 쓸개가 십이지장으로 쓸개즙을 보내지 못해 농축하고 농축하다가 담석을 만들기도 한다.

쓸개는 간에서 생산된 쓸개즙을 보관하다가 십이지장에 위 속의 내용물이 내려오면 십이지장으로 배출된다.

쓸개는 쓸개즙 보관 장소다.

그래서 쓸개를 떼어내도 살 수가 있다.

쓸개가 없는 사람은 한꺼번에 기름진 음식을 많이 섭취하면 덜 좋다.


2023년 7월 27일 목요일

우리가 먹은 음식의 영양소는 어디서 흡수할까? Where do we absorb the nutrients from the food we eat?

 


우리가 먹은 음식은 소장에서 소화를 끝내고 소장 안쪽의 융털에서 영양소가 흡수된다.

소장의 내벽은 주름지고 주름져서 주름 위에 융털이 있고 융털 위에는 미세융털이 있다.

미세융털 속에는 모세혈관과 림프관(암주관)이 들어있다. 확산작용으로 능동수송으로 소장의 영양소가 융털 속으로 들어간다.

융털 속으로 들어간 영양소는 모세혈관과 림프관 속으로 들어간다.



소장의 길이는 7m 이고 손가락 굵기다. 






우리가 먹은 음식의 영양소는 소장의 융털에서 흡수한다.

소장은 손가락 굵기로 좁고 7m의 길이로 아주 길다.

좁아야 소화효소와 내용물이 잘 섞이고 길어야 통과하는 동안에 영양소를 흡수할 수 있다. 

소장은 안쪽에 주름이 많고 주름 위에 융털이 있고 융털 위에 미세융모가 있어 표면적을 600배로 늘린다. 


융털 속 모세혈관은 융털을 빠져나와 합쳐지고 합쳐져서 간문맥이 되어 간으로 갔다가 심장으로 들어간다. 영양소를 흡수한 림프관은 융털을 빠져나와 합쳐지고 합쳐져서 상대정맥을 커쳐 심장으로 간다. 심장의 혈액순환으로 온몸의 세포에게 간다.






소장은 소화를 끝내서 영양소를 흡수하는 곳이니 소화와 영양소 흡수를 위해서 표면적이 아주 넓다.


소장은 위에서 받은 염산으로 삭혀진 강산죽을 받아 알칼리인 쓸개즙과 췌장액과 장액으로 알칼리로 만들며 췌장액과 장액 속의 소화효소로 고분자 3대 영양소를 저분자 영양소로 소화한다. 단백질을 아미노산으로, 녹말을 포도당으로, 지질을 지방산과 글리세롤로 소화한다. 소장은 부분적으로 잘룩잘룩하는 분절운동으로  소화를 하고 쭉쭉 밀어내는 연동운동으로영양소를 흡수하고 남은 찌꺼기를 대장으로 넘긴다.


적혈구의 산소운반. 빈혈증의 이유

  적혈구의 산소운반, 빈혈증의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