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혈당조절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혈당조절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3년 8월 28일 월요일

부신피질은 혈당 조절, 상처치유, 성호르몬 생산. The adrenal cortex regulates blood sugar, heals wounds, and produces sex hormones.



 















부신은 겉에 있는 피질과 속에 있는 수질로 나뉜다.

 

부신피질은 뇌하수체의 명령을 받지만,

수질은 뇌하수체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여기서는 부신피질부터 설명한다.

 

부신피질에서는 당질코르티코이드와 무기질 코르티 코이드 그리고 안드로겐을 생산한다.

 

코르티죤주로 당대사에 관여하므로 당질코르티코이드라고 한다.

 

하지만,

코르티죤은 몸에 상처를 입거나 몸이 세균에 감염되면,

육체적으로 유독하고 유해한 자극을 받으면 이에 대처하는 일을 한다.

 

실제로 코르티죤은 항염증 반응을 나타내고

항알레르기 효과도 있으므로 널리 이용되는 약물이다.

 

우리가 보통 스테로이드 호르몬이 들어간 연고를 너무 사용하면 안 된다고 하는 연고제에 코르티죤이 들어간다.

 

알도스테론 콩팥에서 나트륨 재흡수를 조절하는 호르몬이어서 무기질질코르티코이드라고 한다.

 

부갑상선이 칼슘이온의 농도를 조절하듯

부신피질호르몬은 주로 혈액의 나트륨이온, 염소이온, 칼륨이온의 농도를 조절한다.

 

안드로겐 소량으로 분비되는데 남성 호르몬이다.

 


2023년 8월 23일 수요일

무의식 조절 중추가 있는 간뇌의 시상하부. There is an unconscious control center.

 



그림: 간뇌의 시상하부, 설명: 1. 시상, 2. 뇌하수체, 3. 실방핵, 4. 자율신경의 교감신경중추, 5. 자율신경의부교감신경 중추, 6. 시삭상핵, 7. 감정중추, 8. 내분비중추, 9. 시신경교차


시상: 간뇌의 상부로서 후각을 뺀 감각신경이 지나 대뇌피질로 간다.

 

시상하부: 시상 아래부분으로 여러 조절중추가 있다.

 

자율신경의 교감신경중추: 비상시에 발동하여 우리 몸을 위기에서 구한다.

 

자율신경의 부교감신경중추: 안정시에 발동하여 우리를 편안하게 한다.

 

시삭상핵과 실방핵에서는 항이뇨호르몬인 바소프레신을 생산하여 오줌 양을 조절한다.

 

실방핵에서는 자궁수축호르몬인 옥시토신을 생산한다.

 

시삭상핵과 실방핵에서 생산한 호르몬은 뇌하수체 후엽에 저장되었다가 신경이 흥분하면 혈액 속으로 방출되어 혈액 따라 신장과 자궁으로 가서 기능 발휘를 한다.

 

내분비 조절중추에서는 뇌하수체 전엽 유리 호르몬을 생산하여 뇌하수체 전엽과 연결된 문맥을 따라 뇌하수체로 흘러가서 각각의 호르몬을 생산하게 한다.

 

뇌하수체는 시상하부 아래에 있으며 시상하부의 조절을 받는다.

 

 간뇌의 시상하부에는

 자율신경의 통합중추가 있다.

 

자율신경에는 교감신경과 부교간신경이 있다. 평상시에는 부교감신경을 가동해 우리를 안락하게 하고 비상시에는 교감신경을 가동해 우리를 안전하게 한다. 순발력을 발휘하거나 공부를 하는 것 스트레스 쌓이게 하는 것 공포와 불안하게 하는 것 모두 교감신경이 주관한다.

 

체온 조절중추가 있다.

정상체온 보다 올라가면 덮게 해서 우리로 하여금 옷을 가볍게 입도록 하고 시원하게 하도록 하며 땀을 흘리게 해서 땀이 증발하면서 우리의 체열을 가져가게 한다.

정상체온 보다 내려가면 춥게 해서 옷을 더 입게 하고 따뜻하게 하도록 한다. 아주 추우면 덜덜 떨게 해서 열을 발생시킨다.

 

혈당 조절중추가 있다.

혈당이란 혈액에 녹은 포도당을 말하며 언제나 0.1%가 되도록 조절한다.

 

수분 조절중추가 있다.

혈액 속의 수분 양이 부족하면 갈증을 느끼게 해서 물을 마시게 하고 오줌 양을 줄인다. 만약에 수분 양이 많으면 오줌 양을 늘린다.

 

수면조절중추가 있다.

깊은 잠을 자게하고 잠에서 깨어나게 한다.

 

 감정표출 중추가 있다.

감정은 대뇌피질에 의해서 일어나나 감정표출은 시상하부와 번연계에 연결된 회로에 의한 통합작용으로 표출된다.

 

성행동유발 중추가 있다.

 

소화기와 순환기 조절중추가 있다.

 

 

 


적혈구의 산소운반. 빈혈증의 이유

  적혈구의 산소운반, 빈혈증의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