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7월 30일 일요일

치질이 생기는 이유와 해결 방법. Why hemorrhoids occur and how to solve them

 












변비증이 심하면 왜 치질에 걸릴까?

대변의 창고인 직장은 넓고 항문은 좁아서 이 둘을 연결하는 항문관의 특성 때문에 심한 변비가 치질을 가져온다.

항문관은 어떻게 생겼니?

그 곳에는 직장주 또는 항문주라는 6~10개의 새로 주름이 있다.

세로로 주름이 있다면 오무려지고 벌려지겠구나?

그렇지. 항문이 닫혀질 때 이곳도 오무려져서 항문의 폐쇄를 돕는다.

항문이 열릴 때는 바로 항문관도 늘어나서 대변의 통과를 돕겠구나.

바로 그거야. 항문과 항문관은 같은 목적을 가지고 같은 행동을 한다.

항문관이 오무리고 벌리고 할 때는 에너지가 많이 필요할 것 같다. 그 에너지는 어디서 공급되니?

항문관에 뻗은 혈관에서 공급받지.

그럼 그 곳에 혈관이 풍부하겠다.

물론이지. 항문관 속에는 혈관이 거미줄처럼 잘 발달되어 있고 이 혈관에는 동맥과 정맥이 엇갈려 있어서 서로 교통하고 있으며 안쪽 겉에는 정맥이 총총이 뻗어 있어 정맥총(정맥동)이라고 불린다.

그렇게 혈관이 잘 발달되어 있다면 산소와 영양소가 풍부하게 공급 될 테니 에너지 생산도 많아서 큰 힘을 쓸 수가 있다.

그런데 직장주에 발달한 정맥총은 아주 예민하다.

혈관들이 밀집되어 있는 곳은 예민하지.

특히 정맥총을 이룬 곳의 표피는 아주 얇지.

그 예민한 곳을 딱딱한 대변이 할퀴면서 지나간다고 생각해봐.

저런 거기다가 변비증이 심해서 용트림이 강할 때는 많은 상처를 입히겠지.

맞는 말이야. 쇠몽둥이 같은 대변이 정맥총 위를 할퀴고 지나면 상처가 나서 혈관이 터져 피가 흘러 내리겠지

상처가 난 곳에는 대장균들이 달라 붙어 염증을 일으켜 주어서 커지겠지.

그런 상처 위에는 딱지가 찌겠지.

딱지가 져서 아물지도 안 했는데 다시 그곳을 쇠몽둥이 같은 대변이 지나면 피딱지가 벗겨지고 그곳이 쳐져 내려 커튼처럼 되겠지.

그런 일들이 반복되면 피딱지가 점점 두꺼워져서 혹이 생기고 우린 그것을 치핵이라고 부르지.

치핵이 생기면 항문관 속이 좁아지고 그 속을 쇠몽둥이 같은 대변이 통과 할 때는 치핵이 압박을 받아 터져서 피가 나오고, 심하면 치핵이 밖으로도 나온다.

고통이 심하겠다.

말로 못한다드라.

치핵이 속에 생기면 암치핵이라고 하고 겉에 생기면 숫치핵이라고 불러.

치핵은 치질의 대표적인 병이야.

치질과 치핵은 달라?

항문이나 항문관 속에서 생기는 병들을 치질이라고 부르고 그 중에서 대표적인 것이 치핵인데 사람들은 치핵을 그냥 치질이라고 불러.

그렇구나.


항문 위에 있는 직장은 대변 저장소다.

대장은 맹장-결장-직장-항문으로 이어진다.

대장에서 만들어진 대변이 직장으로 내려와 더욱 농축된다.

직장 속에서는 대장균 수도 많아진다.

대장균 수가 많으니 가스도 많이 방출한다.

가스의 일부는 혈관으로 흡수되고 일부는 방귀가 된다.

직장 아래 항문관은 수축하여 직장의 대변이 빠져 나오지 못하게 막는다.

대변을 볼 때 항문관은 이완되어 대변이 잘 나오도록 한다.

직장과 항문관 사이에는 주름이 많아 직장주라고 하며 모세혈관이 밀집되어 정맥동을 이룬다.

만약 변비일 때는 대변이 직장에서 항문관으로 빠져 나올 때 힘을 주게 되면 직장주가 있는 부분이 상처를 입는다. 그런 일이 반복되면 상처는 커지고 혹이 되어 치질이 된다. 

좀 딱딱한 대변이 주변을 밀치면서 항문관으로 나올 때 직장의 끝에 주름이 많고 표피가 얇은 정맥동에 압박을 가하면 대변이 나오면서 밀쳐서 함께 나와 암치질이 된다.


치질은 오랫동안 앉아서 생활하거나 섬유소가 많은 채소와 과일을 적게 먹을 때 잘 생긴다.


치질을 예방하려면 섬유소가 많은 채소와 과일을 많이 먹고 물을 많이 마신다.

요즘에는 항문과 오줌 구멍의 수축과 이완을 위한 케겔 운동을 열심히 하면 좋아진다. 


치질 초기에는 치질약을 바르면 쉽게 낫고, 아주 심하면 수술을 하고 조심하면 낫는다.


★대변이 어려울 때는 따끈한 물을 담은 그릇에 항문 근처를 담그고 있으면 따끈한 기운이 항문 속으로 들어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항문의 괄약근이 늘어나 항문이 커진다. 그럴 때 힘을 주면 대변이 잘 빠져 나온다. 그래도 힘들면 항문 위를 눌러주면 대변이 나온다.



2023년 7월 29일 토요일

대장균은 섬유소 분해, 유산균은 숙변제거, 대변만들기. Escherichia coli decomposes fiber, lactic acid bacteria removes stool and creates stool.

 

그림은 대장 모습.

회장은 소장의 끝이고 맹장은 대장의 시작이다. 

대장은 볼록볼록한 결장팽기가 있어 속은 오목오목하다.

결장팽기는 결장뉴가 수축하면 커지고 이완하면 작아진다.


소장의 회장에서 대장으로 넘어온 찌꺼기는 대장균이 반긴다.

대장균은 대장에서 섬유소 속에서 먹고 자고 새끼 치며 살아간다.

대장균은 섬유소를 분해해서 포도당으로 만들어 살아간다.

대장 속은 따뜻하고 습도 높고 먹을 것 많아서 대장균에게는 천국이다.

섬유소는 수분을 품고 있어 섬유소를 많이 먹으면 대변이 촉촉하고 양이 많아서 변비를 막아준다.

대장균의 크기는 일천 배로 확대한 현미경으로 보면 연필을 들고 딱 찍은 점 하나의 크기다.


대장균은 살기 좋은 대장에서 살 때는 문제가 없지만 다른 기관으로 가면 공격해서 병을 만든다.

그래서 음식이나 음료를 검사할 때 대장균 검사를 한다.

대장균 덕택에 우리의 대변의 양은 아주 작아진다.

대장에서는 수분을 흡수한다.

유산균은 대장 속에서 4~5일을 살고 죽어서 장내세균이다. 

장내세균은 유산균 이외에도 여러 종류가 있다.

유산균은 대장 속에서 수명이 짧아서 우린 유산균 제품을 자주 먹는다.

유산균은 결장팽기로 대장 안쪽 오목오목한 곳에 쌓인 숙변을 제거한다.

대장 속 숙변이 제거되면 대장의 연동운동이 활발해져 대변이 대장 끝 직장으로 스르르륵 잘 내려간다.

직장은 대변 저장소다.

대장은 찌거기를 미생물 처리로 대변 만드는 공장이다.

대장균과 유산균 등은 미생물이다.


2023년 7월 28일 금요일

췌장을 전부 제거하면 죽는 이유. Why will you die if your entire pancreas is removed?

 



췌장은 십이지장에 연결된다.

췌장은 우리 몸의 외분비샘이며 내분비샘이다.

췌장이 외분비샘인 이유는 3대 영양소 소화효소를 모두 생산해 분비한다.

특히나 지방 소화효소인 리파아제는 췌장에서만 분비된다.

췌장관은 십이지장에 열려 십이지장으로 3대 영양소 소화효소가 들어있는 알칼리 췌장액을 분비한다.


내분비샘인 이유는 혈당조절 호르몬을 분비한다. 

식후에 혈당을 낮추기 위한 인슐린과 공복에 혈당을 높이기 위한 글루카곤 호르몬을 분비한다.

췌장은 제거하면 혈당조절에 장애가 생기고 3대 영양소 소화효소가 분비되지 않는다.

췌장을 완전히 제거하면 죽는다.

위를 전부 제거해도 살 수 있는 이유. Why you can survive even if your entire stomach is removed.

 





그림에서 오른쪽 두번째에 -위-란 글씨가 있다.



위는 위로는 식도, 아래로는 십이지장과 연결된다. 위는 밥통이라고도 한다.

음식을 차곡차곡 받아서 식도와 연결된 분문을 닫고 

염산과 단백질 소화효소를 연 동운동으로 주물럭거려 

들어온 음식을 죽처럼 삭힌다.

염산은 살균작용을 한다.

위에서는 단백질의 질긴 부분을 끊어내고 삭히는 작업만 한다.

위에서 알콜을 흡수해서 술 마신 후에 바로 취기가 오른다.

소화를 완성하고 영양소를 흡수하는 곳은 소장이다. 

그래서 위를 전부 제거하면 처음에는 아주 조심스럽게 먹어야 하지만

세월이 흐르면 조금씩 나아진다.

위는 소화관에서 우리가 먹은 음식이 지나는 곳이니 제거해도 살 수가 있다.

쓸개(담낭)를 떼고도 살 수 있는 이유. Why you can live even after having your gallbladder removed.

 

그림을 보면 간 아래 쓸개(담낭)이 있고 

그 아래 십이지장이 있다.




쓸개주머니를 보통 그냥 쓸개라고 하고 담낭이라고도 한다. 

쓸개는 간에서 내려온 쓸개즙을 농축시키는 주머니다.

쓸개즙은 간에서 생산해서 담관을 타고 쓸개주머니로 내려온다.

쓸개는 쓸개즙을 보관하면서 농축시킨다.

쓸개는 십이지장으로 위속의 염산에 쩌든 강산죽이 내려오면 

즉시 수축하여 십이지장으로  품고 있는 쓸개즙을 배출한다.

쓸개즙에는 소화효소는 없다.

쓸개즙은 지방을 분해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쓸개즙은 물에 녹지 않는 지방 덩어리를 녹여 물에 녹는 유화지방으로 분해한다.

그래서 지방을 많이 섭취하면 쓸개즙이 많이 배출된다.

쓸개즙은 지방을 분해하니 우리 몸속의 비누다.

우리가 기름진 음식을 많이 먹으면 쓸개즙이 많이 십이지장으로 내려가

대장에 이르면 대장벽을 이루는 세포벽에 있는 세포의 세포막을 녹여 상처를 입히고

심하면 암을 유발한다. 그래서 육식을 많이 하면 대장암의 발생률이 높아진다고 한다.

세포막은 지질과 단백질로 되었다.

다이어트 한다고 오랜기간 식사량이 너무 적으면 쓸개가 십이지장으로 쓸개즙을 보내지 못해 농축하고 농축하다가 담석을 만들기도 한다.

쓸개는 간에서 생산된 쓸개즙을 보관하다가 십이지장에 위 속의 내용물이 내려오면 십이지장으로 배출된다.

쓸개는 쓸개즙 보관 장소다.

그래서 쓸개를 떼어내도 살 수가 있다.

쓸개가 없는 사람은 한꺼번에 기름진 음식을 많이 섭취하면 덜 좋다.


적혈구의 산소운반. 빈혈증의 이유

  적혈구의 산소운반, 빈혈증의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