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9월 12일 화요일

대뇌는 본능을 맡는 부분과 생후 학습을 맡는 부분이 다르다. The part of the cerebrum that handles instincts and the part that handles learning after birth are different.



오른쪽 그림을 보면 신피질이 맨 위에 있고 오른쪽 아래 보면 학습이라고 쓰여있고, 고피질과 구피질은 번연계 본능리라고 쓰여있다.




막 태어난 갓난아기가 젖을 빨고 불편하면 울지.”

 

젖을 빨아야 한다는 것을 어떻게 알까요?”

 

본능이니까.”

 

본능은 태어나기 전에 배운 건가요?”

 

조상 대대로 배운 것을 유전 물질로 저장해서 그것이 프로그램화 되어 태어나서 그대로 진행되는 것 같아.”

 

동물도 그래요.”

 

바다거북이가 모래 속에서 알에서 깨어나면 바닷물을 찾아 가는 것도 본능이지요.”

 

철새가 계절 따라 이동하는 것도 본능이지.”

 

본능은 어디에 존재하나요?”

 

대뇌의 발달 순서를 설명하면서 본능 이야기를 하자구나.”

 

대뇌가 발달 순서가 있나요?”

 

발달 순서에 따라 세 부분으로 나누어져.”

 

어떻게 요?”

 

대뇌의 발달 순서는 구피질고피질신피질이야.”

 

구고신 순서네요.”

 

구피질과 고피질은 동물들과 같아.”

 

어떤 일을 하는데요?”

 

구피질은 쾌감, 불쾌감, 분노 같은 감정에 따른 신체 변화를 일으키는 감정 상태를 맡는데 이런 것들을 정동이라고 말해.”

 

정동이요?”

 

한문으로 정은 뜻, 을 쓰는데 느끼어 일어나는 마음의 작용이란 뜻이고, 동은 움직일 동 을 써서 두자를 합해 정동(情動)이라해.”

 

감정으로 움직인다는 뜻이네요.”

 

맞아.”

 

고피질은요?”

 

식욕과 성욕 같은 본능에 관여해.”

 

구피질과 고피질은 아주 동물적이네요.”

 

그래서 구피질과 고피질은 모든 동물이 공통으로 가져.”

 

구피질과 고피질은 사람도 동물과 같다는 거네요?”

 

맞아. 구피질과 고피질을 변연계라고 해.”

 

신피질은요?”

 

태어나면서 학습으로 얻어지는 지식을 모두 입력 시켜 저장하는 일을 해.”

 

태어날 때는 아무것도 저장되지 않았나요?”

 

신피질은 아무것도 그려지지 않은 하얀 도화지야.”

 

태어나서 학습되는 것이 그 하얀 도화지에 그려지는 거네요.”

 

학습을 하면서 어른이 되면 신피질은 어떤 작용을 하나요?”

 

사람 답게 살아갈 수가 있지.”

 

사람 답게 살아가려면 요?”

 

첫째 언어 소통을 해.”

 

글을 쓰고 읽어요.”

 

불을 이용해 요리도 해.”

 

노래도 하고 연극도 하고 영화도 만들어요.”

 

기술을 연마해서 문명을 발달 시키고, 문화예술을 창조해서 발달 시키지.”

 

감정이 발달하여 심리작용도 고도로 발달해.”


맞아요. 동물은 단순한 감정을 갖는데 사람은 복잡해요.”


사람만이 기술을 연마해 문명을 발달 시키고 나아가 문화를 발전시켜.”

 


2023년 9월 10일 일요일

대뇌는 먹보고 주름 많아 넓고, 그 외 특별한 이야기. The brain is large and full of wrinkles, and other special stories.


그림은 주름 많은 대뇌










"우리의 뇌는 호두와 비슷하게 생겼어.”

 

호두는 겉이 주름이 많고 좌우로 구분돼요.”

 

대뇌도 겉에 주름이 많고 좌우로 구분돼.”

 

그럼 뇌와 호두는 유유상종이네요.”

 

맞아. 그래서 호두를 먹으면 머리가 좋아진대.”

 

호두를 많이 먹어야겠어요. 머리 좋아지게.”

 

너무 먹으면 오히려 몸에 좋지 않지.”

 

. 무게는 얼마예요?”

 

남자가 여자보다 약간 무거워.”

 

어느 정도요?”

 

남자는 1350g~1400g이고 여자는 1200g~1250g이래.”

 

그 무게가 평생 가나요?”

 

뇌의 무게는 20세 경에 가장 무겁고 나이 들면 줄어든대.”

 

무거우면 지능이 높을까요?”

 

지능의 차이는 무게나 형태와 관계없대.”

 

대뇌는 전체 뇌의 얼마쯤 될까요?”

 

대뇌는 뇌의 를 차지하며 표면적은 약 2300정도래.”

 

구체적으로 말해주세요?”

 

신문지 한 장만 하지.”

 

주름을 다 펴면 넓겠어요.”

 

우리들의 뇌는 150억 개의 뉴런으로 되어 있대.”

 

“150억 개의 뉴런이 모여 뇌를 만든다니 대단해요.”

 

활동량이 대단하지.”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세요?”

 

심장에서 나오는 혈액량의 20%가 뇌로 흘러.”

 

정말 많이 먹나 봐요.”

 

몸 전체 산소 소모량의 20%가 뇌에서 소비돼.”

 

에너지를 많이 사용하는군요.”

 

뇌는 에너지원으로 포도당만 사용해.”

 

그래서 배고프면 포도당이 떨어져 어지럽군요.”

뇌장벽 그림

 

뇌의 혈관에는 뇌장벽이란 장치가 있어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침입을 차단하는 능력이 있어.”

 

다행이네요.”

 

대뇌의 겉은 회백색이고 주름이 많아서 굴곡이 있어.”

 

왜 겉이 회백색이지요?”

 

뉴런의 세포체가 회백색이고 신경돌기가 백색인데 대뇌의 겉에는 신경세포체가 모여 있어서 그래.”

 

.”

 

 


전두엽은 창조적인 정신력이 뛰어나고 성격을 관장한다. The frontal lobe has excellent creative mental power and controls personality.

 



그림에서 보면 대뇌 신피질은 위치에 따라 전두엽, 두정엽, 후두엽, 측두엽으로 구분한다. 

그림을 잘 보면 어느 부분에서 무슨 일을 하는지 알 수 있다.





할머니! 왜 대뇌는 주름이 많을까요?”

 

표면적을 넓히기 위해서야.”

 

나오고 들어간 부분에 대한 이름이 있나요?”

 

튀어나온 부분을 라고 부르고, 들어간 부분을 또는 라고 불러.”

 

위치에 따라 전두엽, 두정엽, 측두엽, 후두엽으로 나누는 기준이 있나요?”

 

중심구를 기준으로 이마 쪽에 있으면 전두엽, 위쪽에 있으면 두정엽으로 나누지.”

 

측두엽은 어디를 기준으로 나누어요?”

 

외측열이 측두엽을 전두엽과 두정엽과 구분해줘.”

 

후두엽은 어디를 기준으로 해요?”

 

후두엽은 뒤쪽을 말하며 경계가 뚜렷하지 않아.”

 

사람이 다른 동물보다 발달한 부분은요?”

 

사람은 다른 동물 보다 전두엽이 발달하였대.”

 

전두엽은 어떤 일을 하나요?”

 

창조적인 정신작용이 일어나는 곳이지.”

 

전두엽이 발달하면 지능이 발달하겠군요.”

"전두엽이 상처를 입으면 성격이 난폭해져."

"그렇군요."

"나이 들어 치매에 걸린 사람이 난폭해지면 전두엽 치매지."

 


2023년 9월 9일 토요일

대뇌의 감각령-연합령-운동령. The cerebrum's sensory-associative and motor-intellects.

 

 

그림은 대뇌 신피질은 위치에 따라 전두엽, 두정엽, 후두엽, 측두엽으로 구분한다. 그림에서 보듯이 감각령, 연합령, 운동령이 있다..

대뇌피질은 그 기능에 따라 감각령, 운동령, 연합령으로 구분해.”

 

.”

 

감각령은 감각기인 눈, , , , 피부에서 받아들인 자극을 지각하는 중추인데 각 부분에 따라 감각중추가 정해져 있어.”

 

머리 뒤쪽에 있는 후두엽에는 시각중추가 있어요.”

 

운동령은 수의운동(우리들의 의지대로 하는 운동)을 일으켜 뼈에 붙어 있는 근육인 골격근에 명령을 내려.”

 

연합령은요?”

 

연합령은 기억, 사색, 판단, 등의 정신작용과 희로애락 등의 감정 활동 외에 감각령과 운동령을 지배해.”

 

연합령이 대장이네요.”

 

그래서 연합령은 그 범위가 넓어서 감각령과 운동령을 재외한 대뇌의 를 차지해.”

 

그래서 우리들의 생각은 연합령에서 나온다고 하셨군요.”

 



2023년 9월 8일 금요일

뇌 속에서 뉴런를 보좌하는 신경원 세포들. Neuronal cells that support neurons in the brain.

 머리통 속에는 뇌막이 있고 뇌막 속은 뇌실이다.

 뇌실 속에는 뇌척수액이 흐르고 있다.

 흐르는 뇌척수액 속에 신경세포(뉴런)들이 이리저리 뻗어있다.

 뇌속의 신경세포들은 뇌척수액 속에 떠서 생활하기 때문에 흐늘흐늘하다.

 그래서 신경세포를 지탱하고 보살피는 신경원 세포들이 있다.


그림에서 신경세포체가 있는 것이 뉴런(연합뉴런)이고,  상의 세포  성상세포 소교세포 휘돌기세포는 뉴런을 보좌하는 신경원세포들이다.
 
신경원 세포들은 신경세포의 1/10의 크기로 작지만 수적으로는 10배 정도가 많아 수천억 개가 있다.

신경원 세포들은 신경세포의 고유 기능을 잘 수행하도록 돕고 뇌조직이 손상되었을 때 회복시키는 일을 한다.

신경원세포는 세포체와 돌기로 되어있다.

신경원 세포들의 이름은 성상세포, 희돌기 세포, 소교세포가 있다.

성상세포는 여러 돌기를 가지고 있으며 끝에 빨판이 있다. 한쪽 돌기들은 모세혈관에 빨판을 대고 다른 쪽 돌기들의 빨판은 신경세포의 세포체에 대고 신경세포에 영양소와 산소를 공급하고 신경세포의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을 모세혈관으로 보내 신경세포에 영양을 공급하는 일을 한다.

희돌기세포는 돌기 수가 적으며 신경세포들의 축삭돌기에 돌기를 붙어서 수초를 만들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소교세포는 뇌조직 속을 돌아다니며 이물질을 먹고 운반하고 파괴하고 제거하여 병적대사물질을 청소하는 역할을 한다.

상의세포는 입방 또는 원주상피로 뇌실계 내면을 싸며 뇌척수액의 분비와 순환을 맡는다.


적혈구의 산소운반. 빈혈증의 이유

  적혈구의 산소운반, 빈혈증의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