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8월 16일 수요일

갑상선 호르몬 티록신 이야기. A story about the thyroid hormone thyroxine.




 할머니! 갑상선 호르몬 티록신 이야기를 해주세요?”

 

우선 티록신이라는 이름이 어떻게 태어났는지부터 이야기해 주지. 티록신은 갑상선 옥시인돌(thyroid oxyindole)에서 따온 이름인데 1914년 처음 잘못된 화학구조에서 따온 이름이지. 그러나 티록신은 아미노산 티로신과 요오드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니 뭐 비슷하지.”

 

티록신의 원료가 티로신 아미노산과 요오드라니 참 간단해요.”

 

요오드는 바닷물에 있는 귀한 미네랄이지, 삼면이 바다라서 해염(海鹽)을 먹고 해산물이 풍부하니 얼마나 좋니.”

 

맞아요.”

 

티록신에는 요오드를 4개 갖는 T와 요오드를 3개 갖는 T두 종류가 있지.”

 

둘의 작용이 다른가요?”

 

티록신 T는 활성형이 아니고 T는 삼요오드티로신이라 부르며 티록신 보다 훨씬 활성이 강해.”

 

티록신이 하는 일이 무엇인데요?”

 

우리 몸 세포 속으로 들어가 신진대사를 활성화해.”

 

티록신은 활성형이 아니고 삼요오드티로신이 활성이 강하다면 둘의 양은 어떻게 되나요?”

 

티록신이 많고 삼요오드티로신은 양이 아주 적어.”

 

그럼 세포의 신진대사를 활성화하려면 티록신이 삼요오드티로신으로 변해야겠네요.”

 

맞아. 티록신이 요오드 하나를 버리고 삼요오드로티로신으로 변해야 해.”

 

티록신이 갑상선에서 만들어져 혈액으로 들어가는 과정은 요?”

 

호르몬들은 홀로 있기도 하지만 단백질에 결합하여 있어. 즉 보따리로 싸져 있는 거지.”

 

갑상선 여포 세포에서 만들어진 티록신이 단백질 보자기에 싸여 어떻게 세포 밖으로 나와 혈액으로 들어가요?”

 

세포막에는 단백질이 통과하는 통로(체널)이 있고 세포막에서 뻗어 나온 당단백질 같은 것들이 있고 세포와 세포 사이에는 콜라겐이 쭉쭉 뻗어있고, 세포와 세포가 서로 위치를 지키려고 연결하는 것들을 타고 확산작용으로 밀려서 혈액으로 들어가 이동을 해.”

 

맞아요. 세포들이 서로 뚝 떨어지지 않으려고 연락 끈을 붙들고 있군요.”

 

그건 마치 세포가 벽돌집의 벽돌이라면 벽돌과 벽돌 사이에 시멘트가 있는 것과도 같지.”

 

혈액으로 들어간 티록신은 온몸으로 흘러가겠네요.”

 

온몸의 조직으로 들어가서 모세혈관의 미세한 구멍을 통해 혈장에 녹아 함께 조직액으로 흘러나와.”

 

"조직에는 세포들이 있고 세포들 사이에는 조직액이 흐르고 세포들은 조직액과 사이에 물질교환을 하지요."

 

맞아. 조직액은 세포 사이를 흐르고 티록신이 변한 삼요오드티로신은 수용체를 따라 세포 속으로 들어가 신진대사를 활성화해.”

 

티록신은 우리 온몸에 있는 세포에 작용한다고 했으니 우리의 모든 세포에 수용체가 있겠네요.”

 

맞아.”

 

신진대사를 어떻게 활성화해요?”

 

물질대사를 시키고 에너지 대사를 시키고 세포에서 노폐물을 배출시키고, 새로운 필요한 물질을 흡수하고, 세포를 성장시키고, 세포분열을 해서 자라게 하는 등등,”

 

 

 


갑상선 자극 호르몬과 갑상선의 티록신 호르몬이 하는 일. What thyroid-stimulating hormone and thyroxine hormone of the thyroid gland do.

 



갑상선은 어디 있어요?”


목 밑에 있어 목밑샘이라고도 해.”

 

갑상선이란 이름은 어디서 왔어요?”

 

갑상연골 아래에 있어 생긴 이름이지그림을 보렴.

 

갑상선 자극 호르몬은 갑상선으로 가서 어떤 일을 해요?”

 

갑상선에 가서 호르몬을 생산하라고 명령해.”

 

갑상선은 명령을 받고 어떻게 하나요?”

 

티록신이라는 호르몬을 생산해.”

 

티록신은 무슨 일을 하나요?”

 

티록신은 온몸의 세포에게 가서 물질대사를 촉진해.”

 

물질대사가 촉진되면요?”

 

우리 몸에 에너지도 생기고 열도 나고 필요한 물질도 생겨.”

 

우리가 기운 나고 몸이 따뜻해지는 것이 티록신 호르몬 때문이군요.”

 

맞아.”

 


2023년 8월 15일 화요일

시상하부가 뇌하수체에 보내는 자극 방출 호르몬들. Stimulus-releasing hormones that the hypothalamus sends to the pituitary gland.


빨강은 동맥.

파랑은 정맥

뇌하수체 전엽은 큰 혈관인 문맥을 통해 혈액으로 명령 호르몬을 받아 선하수체다.

뇌하수체 후엽은 신경으로 명령을 받아  신경하수체다.



“할머니! 시상하부가 뇌하수체에 내리는 명령 호르몬은 어떤 것들이 있어요?”

“뇌하수체 자극 호르몬을 시상하부와 뇌하수체에 연결된 문맥을 통해 내려보내는데 뇌하수체에 자극 호르몬을 방출 또는 분비하라는 호르몬들이지.”

“시상하부가 어떤 뇌하수체 자극 호르몬을 분비하나요?”

“뇌하수체 전엽에 작용하는 성장호르몬 방출호르몬, 갑상선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 부신피질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 생식선자극방출호르몬.”

“하나하나 설명해 주세요?”

“성장호르몬방출호르몬이 있는데 뇌하수체에 가서 성장호르몬을 분비 촉진해.”

“너무 많이 분비되어 거인이 되면 어떡하나요?”

“성장호르몬 억제인자인 소마토스타딘을 분비해서 뇌하수체에서의 성장호르몬의 과다 분비를 억제해.”

“소마토스타딘이 너무 많이 분비되어 성장이 너무 억제되면 어떡하나요?”

“그렐린 호르몬이 성장호르몬방출호르몬을 촉진한다고 해. 그런데 그렐린은 위장에서도 분비되어 음식물 섭취와 관여한다고 해.”

“갑상선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은요?”

“갑상선자극호르몬 분비호르몬은 뇌하수체 전엽의 갑상선자극호르몬을 분비하는 세포를 자극해 갑상선호르몬인 티록신을 생산 분비를 촉진해.”

“부신피질자극방출호르몬은요?”

“뇌하수체 전엽에 있는 부신피질자극호르몬을 생산하는 세포를 자극해서 부신피질자극호르몬을 생산 분비하게 해.”

“생식선자극방출호르몬은요?”

뇌하수체 전엽의 생식선자극호르몬을 생산하는 세포에 가서 난포자극호르몬과 황체형성호르몬을 생산하도록 자극해.“

”뇌하수체 후엽에서 생산하는 옥시토신과 바소프레신은 시상하부에서 방출호르몬을 내려보내지 않나요?“

”시상하부에서는 여러 곳에서 들어오는 정보에 따라 뇌하수체를 다스리는데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되는 옥시토신과 바소프레신은 되먹임으로 조절해. 참, 사람의 바소프레신은 아르기닌 바소프레신이라고 말한대.“

"간뇌 시상하부는 대단해요."

"간뇌 시상하부는 우리 몸의 내적평형을 위해서 여러 곳에 흐르는 혈액의 무든 것을 체크해서 조절해 우리 몸을 건강하게 만들지."

"앞으로 호르몬에 관해서 자세히 설명해 주세요."

  

간뇌의 시상하부가 어떤 방법으로 뇌하수체에 명령을 내릴까? How does the hypothalamus of the diencephalon give orders to the pituitary gland?

 



"할머니! 시상하부가 어디 있어요?"

"위 그림을 보렴."

"시상하부에는 고위 자율신경계가 있잖아요?" 

"맞아. 시상하부에는 자율신경계의 조절중추가 있어서 뇌하수체는 시상하부의 명령으로 호르몬을 생산분비해."

"시상하부가 뇌하수체에 어떻게 명령을 해요?"

"뇌하수체 전엽과 시상하부 사이에는 혈관이 아주 큰 문맥이 있는데 그 문맥을 통해서 명령을 내려. 아래 그림을 보렴."










"간뇌의 시상하부가 뇌하수체에 어떤 명령을 내려요?"

"유리(방출) 호르몬을 내려 보내."

"예를 들면 요?"

"갑상선 자극호르몬유리호르몬을 시상하부에서 문맥을 통해 뇌하수체로 보내면 뇌하수체 전엽에 있는 갑상선자극호르몬 세포들이 갑상선자극호르몬을 생산해서 분비해."

“할머니! 위 그림을 보면 전엽을 선하수체, 후엽을 신경하수체라고 하는데 왜 다른가요?” 

“전엽은 문맥을 통해 호르몬으로 시상하부의 명령을 받고, 후엽은 신경을 통해 명령을 받아서 그래."

"전엽과 후엽이 시상하부에서 받는 명령 방법이 다르군요."

"앞으로 호르몬을 공부하면 알게 돼."


적혈구의 산소운반. 빈혈증의 이유

  적혈구의 산소운반, 빈혈증의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