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8월 15일 화요일

시상하부가 뇌하수체에 보내는 자극 방출 호르몬들. Stimulus-releasing hormones that the hypothalamus sends to the pituitary gland.


빨강은 동맥.

파랑은 정맥

뇌하수체 전엽은 큰 혈관인 문맥을 통해 혈액으로 명령 호르몬을 받아 선하수체다.

뇌하수체 후엽은 신경으로 명령을 받아  신경하수체다.



“할머니! 시상하부가 뇌하수체에 내리는 명령 호르몬은 어떤 것들이 있어요?”

“뇌하수체 자극 호르몬을 시상하부와 뇌하수체에 연결된 문맥을 통해 내려보내는데 뇌하수체에 자극 호르몬을 방출 또는 분비하라는 호르몬들이지.”

“시상하부가 어떤 뇌하수체 자극 호르몬을 분비하나요?”

“뇌하수체 전엽에 작용하는 성장호르몬 방출호르몬, 갑상선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 부신피질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 생식선자극방출호르몬.”

“하나하나 설명해 주세요?”

“성장호르몬방출호르몬이 있는데 뇌하수체에 가서 성장호르몬을 분비 촉진해.”

“너무 많이 분비되어 거인이 되면 어떡하나요?”

“성장호르몬 억제인자인 소마토스타딘을 분비해서 뇌하수체에서의 성장호르몬의 과다 분비를 억제해.”

“소마토스타딘이 너무 많이 분비되어 성장이 너무 억제되면 어떡하나요?”

“그렐린 호르몬이 성장호르몬방출호르몬을 촉진한다고 해. 그런데 그렐린은 위장에서도 분비되어 음식물 섭취와 관여한다고 해.”

“갑상선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은요?”

“갑상선자극호르몬 분비호르몬은 뇌하수체 전엽의 갑상선자극호르몬을 분비하는 세포를 자극해 갑상선호르몬인 티록신을 생산 분비를 촉진해.”

“부신피질자극방출호르몬은요?”

“뇌하수체 전엽에 있는 부신피질자극호르몬을 생산하는 세포를 자극해서 부신피질자극호르몬을 생산 분비하게 해.”

“생식선자극방출호르몬은요?”

뇌하수체 전엽의 생식선자극호르몬을 생산하는 세포에 가서 난포자극호르몬과 황체형성호르몬을 생산하도록 자극해.“

”뇌하수체 후엽에서 생산하는 옥시토신과 바소프레신은 시상하부에서 방출호르몬을 내려보내지 않나요?“

”시상하부에서는 여러 곳에서 들어오는 정보에 따라 뇌하수체를 다스리는데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되는 옥시토신과 바소프레신은 되먹임으로 조절해. 참, 사람의 바소프레신은 아르기닌 바소프레신이라고 말한대.“

"간뇌 시상하부는 대단해요."

"간뇌 시상하부는 우리 몸의 내적평형을 위해서 여러 곳에 흐르는 혈액의 무든 것을 체크해서 조절해 우리 몸을 건강하게 만들지."

"앞으로 호르몬에 관해서 자세히 설명해 주세요."

  

간뇌의 시상하부가 어떤 방법으로 뇌하수체에 명령을 내릴까? How does the hypothalamus of the diencephalon give orders to the pituitary gland?

 



"할머니! 시상하부가 어디 있어요?"

"위 그림을 보렴."

"시상하부에는 고위 자율신경계가 있잖아요?" 

"맞아. 시상하부에는 자율신경계의 조절중추가 있어서 뇌하수체는 시상하부의 명령으로 호르몬을 생산분비해."

"시상하부가 뇌하수체에 어떻게 명령을 해요?"

"뇌하수체 전엽과 시상하부 사이에는 혈관이 아주 큰 문맥이 있는데 그 문맥을 통해서 명령을 내려. 아래 그림을 보렴."










"간뇌의 시상하부가 뇌하수체에 어떤 명령을 내려요?"

"유리(방출) 호르몬을 내려 보내."

"예를 들면 요?"

"갑상선 자극호르몬유리호르몬을 시상하부에서 문맥을 통해 뇌하수체로 보내면 뇌하수체 전엽에 있는 갑상선자극호르몬 세포들이 갑상선자극호르몬을 생산해서 분비해."

“할머니! 위 그림을 보면 전엽을 선하수체, 후엽을 신경하수체라고 하는데 왜 다른가요?” 

“전엽은 문맥을 통해 호르몬으로 시상하부의 명령을 받고, 후엽은 신경을 통해 명령을 받아서 그래."

"전엽과 후엽이 시상하부에서 받는 명령 방법이 다르군요."

"앞으로 호르몬을 공부하면 알게 돼."


2023년 8월 12일 토요일

뇌하수체에서 생산하는 호르몬과 표적기관. Hormones and target organs produced by the pituitary gland










































뇌하수체는 전엽, 중엽,후엽으로 나뉜다.
중엽은 사람에서는 퇴화되었다고 한다.

내분비샘을 다스리는 뇌하수체 이야기. The story of the pituitary gland, which controls the endocrine glands.

간뇌는 두분으로 나뉜다. 위는 시상이고 아래는 시상하부다. 시상하부 아래 뇌하수체가 있다.


그림에서 뇌하수체는 간뇌 아래 있다.


할머니! 우리 몸에 호르몬샘이 많은데 어디서 다스려요?”

그림에서 뇌하수체를 찾아봐.”

간뇌 아래에 있어요.”

간뇌 아래에 있어 뇌하수체라고 해.”

“그림 설명을 보면 간뇌가 위는 시상이고 아래는 시상하부네요.”

맞아. 뇌하수체가 간뇌의 시상하부 아래에 있고, 시상하부의 지령을 받지.”

뇌하수체가 시상하부의 지령을 받아 내분비샘을 조절하나요?”

뇌하수체의 명령을 받지 않는 내분비샘도 몇 있어.”

어떤 내분비샘이 뇌하수체의 명령을 받지 않나요?”

그건 나중에 따로 설명하고 일단 뇌하수체에 관한 이야기만 하자.”

뇌하수체는 어떤 모양이지요?”

타원형 모양이고 단단해.”

크기는요?”

길이는 9~11mm, 너비는 7~9mm, 높이는 6~8mm,”

무게는요?”

“500~600mg 정도. 0.5~0.6g으로 작아.”

“0.5~0.6g의 무게가 우리 몸의 중요한 내분비샘을 다스린다니 대단하네요.”

“완두콩만 한 게 그 많은 일을 한다니 대단하지.”

 



 

2023년 8월 9일 수요일

호르몬(hormone)의 뜻. Meaning of hormone.

 

 할머니! 왜 내분비샘에서 생산된 화학물질을 호르몬이라 하나요?”

 

호르몬이란 그리스어에서 유래했어.”

 

그리스어로 무슨 뜻인데요?”

 

“-부추기다.- 또는 자극하다.- 는 뜻이지.”

 

누가 이름 지었나요?”

영국의 스탈링(Starling)이 지었어.”

 

가장 먼저 발견된 호르몬은 무엇인가요?”

 

갑상선에서 나오는 호르몬이지.”

 

"호르몬이란 단어는 언제 사용되었나요?"

 

"십이지장에서 생산되는 세크리틴 호르몬 때부터라고 해."

 

적혈구의 산소운반. 빈혈증의 이유

  적혈구의 산소운반, 빈혈증의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