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7월 18일 화요일

가래는 왜 생기고 기침은 왜 하나요? Why does phlegm occur and why do I cough?



그림은 기관내벽이다. 기관내벽에는 선모가 나 있고 섬모들 위에 점액이 있다. 즉 점액속에 섬모가 있다. 공기 속에 세균이나 바이라스가 들어 와 점액이 붙어 살려고 귀찮게 하면 그걸 뱉어내려고 기침을 한다. 먼지나 세균이 들어와 점액에 붙으면 섬모가 물결운동으로 목구멍 쪽으로 밀어내면 점점 눈덩이 처럼 커지고 그걸 뱉어내기 위해 기침도 하고 재채기도 한다.



우리가 숨을 쉬면 먼지를 품은 공기가 코 속으로 들어와

코속의 털에 의해서 먼지가 걸러진다.

코속 털에 먼지가 조금 걸러지면 점액이 그 걸 삭혀 버리지만

많이 걸러져 있음 점액이 많이 나와 코가 생긴다.

우린 코 속에 코가 고이면 숨쉬기가 답답하여 "헹!" 하고 푼다.

먼지가 걸러지면서 정맥동에 도착한 공기는 따뜻해지고 습해진다.

정맥동은 정맥이 그물처럼 뻗어 큰 정맥처럼 보이는 정맥이다.

정맥동을 코속의 피바다라고도 부른다.

이곳은 표피가 얇아서 열을 밖으로 방출을 해서 따뜻하다.

 

조금 깨끗해진 공기는 입 속으로 나 있는 뒤코구멍을 통해 목구멍으로

들어간다. 뒤코구멍을 후비공이라 한다.

후비공을 통해 입 속으로 들어 온 공기는 더욱 습기지고 따뜻해진다.

더욱 따뜻해지고 습해진 공기는 목구멍을 지나

기관으로 가는 입구의 대문인 후두개를 열고 후두로 들어간다.

후두 다음은 성대다. 성대는 공기가 지날 때 떨면 소리가 난다.

즉 성대에는 진동판이 있고 양측에 있는 진동판 두 개가 만드는 성문이 있다.  

성대를 지나면 기관이다.


공기가 기관으로 들어가면 기관 벽에 나 있는 섬모들이

물결 치듯이 무리 지어 움직이며 지나는 공기 속의

세균과 미세먼지를 붙잡아서는 기관 내벽에 발라져 있는

점액에 묻혀서 가래를 만든다.

가래도 양이 작을 때는 점액이 삭혀 버린다.

작은 양의 먼지와 세균을 먹은 점액은 적은 양의 가래가 되어
삭혀진다. 그러나 그 양이 많을 때는 삭힐 수가 없어서 섬모들이

그 점액을 눈덩이를 굴리듯이 목구멍쪽으로 밀어 올리면
점점 커져서 가래 덩어리가 되어 기관을 막는다


가래 덩어리가 기관을 막으면 공기가 통과 할 수가 없어
우린 숨 쉴 수가 없어 뭉친 가래를 뱉으려고 기침을 한다.

재채기도 한다.

재채기는 순간적으로 가래 덩어리를 목구멍쪽으로 로켓트를 발사하듯이  
밀어내는 방식이다.

그래서 재채기를 하다가 가래 덩어리가 탁 튀어 나올 때도 있다.

감기에 걸리면
감기를 일으키는 바이러스가 코나 기관의
내벽을 자극해서 그걸 잡아 죽이느라 바빠서
맑은 콧물과 가래가 나오다가
우리 몸의 백혈구와 항체들이 바이러스를
잡아 죽이기 시작하면 진한 가래가 마구 나온다.
그 가래를 뱉으려고 기침도 엄청 한다.
콧물과 가래가 맑은 것은 차거워서고
누런 것은 열이 있어서다.

우리가 더운 여름에 감기에 잘 안 걸리고
추운 겨울에 잘 걸리는 것은 바로 감기 바이러스는
추운 것을 좋아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열이 나는 식품을 먹으면 감기가 떠난다.
생강차와 오미자 차 등이 감기에 좋은 것도
바로 이 식품들이 열 내는 성질이 있어서다.
감기에 걸리면 우리 몸에 열 나는 것도
감기 바이러스를 죽이기 위해서다.

 

 요즘에는 여름에 에어컨을 틀어 춥기 때문에

감기에 잘 걸린다.

여름엔 땀을 팔팔 흘리며 지내는 것이

에어컨으로 피부를 차갑게 하는 것 보다 낫다.

우리 몸은 자연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자연환경을 인위적으로 변화 시켜 우리 몸을 적응 시키려 하면

부작용이 있다.

시원한 가을이 오면 선풍기를 많이 쏘인 사람은 냉풍병에 걸리고

에어퀀을 많이 쏘인 사람은 냉방병에 걸린다.

그것이 바로 자연을 거슬린 댓가이다.

 

 예부터 여름 감기는 개도 안 걸린다고 했다.

여름은 기후가 더워서 감기를 일으키는 바이러스가

활동을 못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요즘의 여름에는 개 보다 사람이 더 감기에 잘 걸린다.

겨울엔 너무 뜨겁지 않게 여름엔 너무 시원하지 않게 지내자.

그것이 바로 건강해 질 수 있는 첫걸음이다.

 


2023년 7월 17일 월요일

먹고 숨 쉴 때 목젖과 후두개가 하는 일. What the uvula and epiglottis do when eating and breathing.

 


그림에서 목젖이라고 쓴 글씨 왼쪽에 젖꼭지처럼 나온 것이 목젖이다.

그림에서 목젖을 구개수라고 한다.








그림의 왼쪽을 보면 음식을 삼키고 입을 다물면, 목젖이 목구멍을 막고, 목구멍 아래 식도와 기도 입구를 지날 때 후두개가 기도 입구를 막고 있다가 음식이 지나면 다시 후두개가 기도 입구를 열어 준다. 



먹을 때 목젖이 잘못하면 먹은 물이나 음식이 코로 나오기 쉽다.

사례 들리는 것은 후두개의 잘못이다.

목구멍 아래는 기도와 식도로 가는 입구가 있는 후두다.

기도로 들어가는 후두입구에는 후두개라는 뚜껑이 있고, 

식도 입구는 근육으로 되어 보통 때는 닫혀있다가 음식이 들어가면서 열린다.


후두에는 후두개라는 뚜껑이 있다. 

후두개는 자동문이라서 음식이 지나가면 자동으로 내려와서 후두 입구를 막아 버린다. 

음식이 지나가 버리면 후두개는 얼른 고개를 들어서 후두 입구가 열려 공기가 들어간다. 

음식이 목구멍을 지나면 바로 후두개를 밀어 아래로 쳐지게 해서 후두입구를 막아 버리게 만들어졌다. 그리고는 음식이 지나면 자연적으로 바로 얼른 후두개는 고개를 들어 후두 입구를 열어 놓는다. 그래서 어른들은 게걸스럽게 밥을 먹는 것을 보면”숨이나 쉬고 먹어라” 한다. 

즉 음식을 먹을 때는 숨을 못 쉬고, 숨을 쉬려면 먹을 수가 없다.

 

 

목젖은 목구멍으로 넘어 간 음식이 다시 입 속으로 거슬러 나와 뒤코구멍 속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아 주는 일을 한다.

우리가 먹은 음식이 씹혀져서 목구멍을 지나면 목젖이 거슬러 올라오지 못하게 막아 준다. 

목젖이 임무를 태만히 하다가 목구멍 아래 후두로 넘어 가던 음식이 거슬러 올라오면 뒤코구멍 속으로 들어간다. 실제로 물이나 음식을 먹다가 콧속으로 들어 간 경험을 하신 님도 계실거다. 목젖 덕분에 우리가 누워서 음식을 먹어도 콧속으로 들어가지 않고 목구멍으로 잘 넘어간다.

 

 

후두개는 기관 속으로 물이나 음식이 들어가는 것을 막아 준다.

우리들의 앞 목 속에는 두 줄의 관이 세로로 지난다. 하나는 기관이고 하나는 식도다. 

기관은 공기가 지나는 길이고, 식도는 음식이 지나는 길이다. 기관은 연골로 되어 외부 충격이 가해져도 빳빳해서 쭈그러지지 않아 막히는 일이 없다. 막히면 우린 숨 막혀 죽는다. 식도는 근육으로 되어 음식이 지나지 않을 때는 앞뒤가 납작하게 붙어 있다. 

기관이 바깥쪽에 있고 식도는 기관의 뒤에 있다. 

기관과 식도의 차이를 알고 싶으면 닭을 요리 할 때 잘린 목을 잘 보면 기관과 식도를 금방 알 수 있다. 원래 생물 실험은 부엌에서 음식을 만들며 하는 것이 이해하기도 외우기도 쉽다.

 

 

앞에서도 말했듯이 음식이 목구멍으로 들어가면서 후두개를 밀어 후두 입구를 닫는다. 만약에 후두개가 잘못되어 음식이나 물이 조금이라도 후두 속으로 들어가면  우린 그것들이 기관이나 허파로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서 재채기를 하고 심하면 사례가 들린다. 사례가 들리는 것은 후두로 들어간 이물질을 뱉어 내기 위한 일련의 비상사태다.

 

오랫동안 물을 마시지 못하고 먼 길을 걸으면 목이 탄다. 

목이 탈 때는 후두개도 말라서 작동이 제대로 되지 않게 되어 마신 물이 후두을 거쳐 기관으로 들어 가기 쉽다. 그럴 때는 천천히 조금씩 물을 마셔야 후두개가 적셔져서 후두를 잘 막을 수가 있어 기관으로 물이 들어가지 않는다.


2023년 7월 16일 일요일

침속의 파로틴 호르몬과 노화억제. Parotene hormone in saliva and anti-aging.

 

귀밑샘에서 노화억제 호르몬인 파로틴이 분비된다. 











“세나야! 침에는 파로틴이란 호르몬이 있어 음식을 꼭꼭 씹어먹으면 건강해져 노화가 늦어지지.”

“할머니! 침샘은 가장 큰 귀밑샘, 턱밑샘, 혀밑샘이 각각 1쌍씩 있는데 모든 침샘에서 호르몬을 생산해요?”

“처음에 파로틴을 귀밑샘의 선세포에서 분리해내서 파로틴이란 이름은 귀밑샘인 독일어인 Parotis에서 따왔지.”

“파로틴 호르몬은 어떤 작용을 하나요?”

“피부를 아름답게 하고, 노화를 늦추어 건강하게 해. 뼈와 치아를 튼튼하게 하고, 백혈구 증가, 혈관벽을 튼튼하게 해. 지금은 파로틴 정으로 생산해 치료를 위해 사용해.”

“파로틴 정이 어떤 치료를 하나요?”

“동맥경화증, 위하수증, 갱년기장애, 변형성 관절증, 근무력증 등에 사용해.”

“침을 많이 나오게 하려면 어떡해야 하나요?”

“음식을 꼭꼭 씹으면 침이 많이 나오지. 씹는 일을 덜 하면 귀밑샘이 퇴화하여 침이 잘 나오지 않고 노화가 촉진된데.”

“귀밑샘에서 침을 많이 나오게 하려면 꼭꼭 씹어먹는 음식을 많이 먹어야 하고 물도 많이 마셔야겠네요.”

“맞아.”


각 침샘은 입속의 음식에 대해 알고 있다. Each salivary gland knows about the food in your mouth.

 
















귀밑샘은 제일 크다.

 

무게가 15~30g 정도이니 계란 크기 정도.

 

이 침샘에서 나오는 침은 녹말을 소화 시키는 능력이 뛰어 나

 

우리가 밥이나 빵을 먹을 때 많이 나온다.

 

 

그 다음 큰 턱밑샘은 무게가 7~8g인데

 

우리가 고기를 먹을 때 즉 육류를 먹을 때 많이 나온다

 

 

가장 작아서 겨우 약 2g 인 혀밑샘은 시고 짠 음식을 먹을 때

 

많이 나온다.

 

즉 우리들의 입속으로 침을 내보내는 침샘은 3쌍인데

 

이들 침샘들은 무턱대고 침을 분비하는 것이 아니라

 

입 속에 어떤 성질의 음식이 들어 왔느냐에 따라

 

침샘들의 활동이 달라진다.

 

 

밥이나 빵이 입 속에 들어오면은 귀밑샘에서 가장 많은 침을 분비하고

 

고기가 입 속에 들어오면은 턱밑샘에서 가장 많은 침을 분비하고

 

시고 짠 음식이 입 속으로 들어오면 혀밑샘에서 가장 많은 침을 분비한다.

 

 

침은 약 알카리성으로서 하루에 1리터 정도가 나온다.





침은 어떻게 나올까? How does saliva come out?

 


입술을 굳게 닫고서 양 뺨을 입 안쪽으로 잡아 당겨 입 속을 좁힌 후 침을 모두 모아 삼키고서 잠시만 있어 보면, 새로운 침이 혀 밑과 위쪽 큰 어금니 맞은 편의 살 속에서 쏘옥쏘옥 나와서는 다시금 입 속을 홍건히 적셔 주는 것을 느낄 수 있다. 

혀 밑으로 나오는 침은 혀밑샘과 턱밑샘에서 나오는 침이다  

쪽 큰어금니 맞은 편 살 속에서 나오는 침은 귀밑샘에서 나오는 침이다.

 

침이 어떻게 나올까?

침이 나오는 것은 우리들의 목 뒤 위의 속에 있는 연수에서 조절한다. 

음식이 입 속으로 들어가면 음식이 자극이 되어 침이 나온다. 

음식을 씹으면 침은 더 나온다. 

이렇게 침처럼 조건 없이 그냥 나오는 것을 무조건반사라고 한다.

 

 

침은 무조건반사와 조건반사적으로 나온다.

침이 무조건적으로만 나오는 것은 아니다. 

우린 자기가 좋아하는 것을 보면 “군침이 당긴다고 한다.” 

입 속에 음식이 들어가지 않아도, 보고서, 듣고서, 냄새를 맡기만 해도 

침이 나오는 것은 조건반사다.

 

 

러시아의 의사이며 생리학자였던 파브로라는 사람은 개를 가지고 실험을 해서 조건반사라는 새로운 말을 만들어 냈다. 그는 개를 길렀는데 밥을 줄 때 마다 종소리를 들려 주었다. 그러다가 어느날 밥을 주지 않고 종소리만 들려 주었는데도 침을 흘리는 것을 보았다. 즉 종소리는 대뇌에 입력이 되고 대뇌는 연수에 지금 침을 분비하라고 명령을 내린 것이다. 종소리가 침이 나오게 하는 조건이 되었다 해서 조건반사다.



 

적혈구의 산소운반. 빈혈증의 이유

  적혈구의 산소운반, 빈혈증의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