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7월 23일 일요일

땀을 너무 많이 흘리면 신장이 힘들다. If you sweat too much, your kidneys suffer.


그림에서 땀샘과 땀구멍이 보인다.




땀은 체온조절을 위해서 흘린다.

땀을 너무 흘리고 물을 마시지 않으면 혈압이 떨어진다.

땀을 맛보면 찝질하다. 즉 소금 맛이 난다.

그래서

땀을 오랫동안 많이 흘리면 이온 음료를 마시는 것이 좋다.

물에 소금을 아주 약간 타서 마시는 것도 좋다.

옛날에는 땀을 많이 흘리면 물에 간장을 타서 마셨다고 한다.

땀샘은 모세혈관이 칭칭감고 있어 체온이 기준치 이상으로 오르면 

모세혈관에서 액체 성분인 혈장을 흡수해서 만들기 때문에 

땀을 많이 흘리면 혈압이 떨어진다.


땀을 많이 흘리면 혈압이 떨어지고 콩팥이 힘들다는 이유를 알아보자.

신장은 혈액을 청소하는 기관이다.

신장에서의 오줌을 만드는 첫 단계는 말피기소체에서 한다.

말피기소체의 사구체는 혈압차이로 혈액을 여과해서 원뇨(여과액)를 만든다.

그런데 땀을 많이 흘리면 혈압이 낮아져 신장에서 혈액을 여과할 수가 없다.




그림은 신장(콩팥) 속 말피기소체다.

사구체로 들어가는 수입소동맥 혈관은 굵고, 나오는 나오는 수출소동맥 혈관은 보다 가늘어서 혈압차이가 생겨 혈액을 여과해서 오줌원액을 만들 수 있다.






땀을 많이 흘리면 그 만큼 물을 마셔야 혈압이 떨어지지 않아 신장에서 혈액을 잘 청소할 수 있다. 

신장에서는 혈압 차이로 오줌 원액을 만들고 재분비와 재흡수를 통해 혈액을 청소한다.

혈액 속에 넘치는 영양소는 재분비하고 모자라는 영양소는 재흡수한다.

예를 들면

혈액 속에 포도당이 기준치 이상 많으면 오줌으로 걸러내고 심해지면 당뇨병이 든다.





식후(음식을 먹고 나서)에 졸리고 나른한 이유. The reason why you feel sleepy and lethargic after eating (after eating food).

 



그림은 위다.
위벽은 맨 겉은 장막이다.
맨 안쪽은 점막이다.
장막과 점막 사이에는 근육층이다.
근육층은 가로로, 세로로, 사선으로
뻗어 3층이다.




밥 먹고 나서 졸리는 것은 식곤증이다.

식곤증은 위 속에 음식이 들어오는 양에 비례한다.

음식을 많이 먹을수록 더 졸리고 적게 먹을수록 덜 졸린다.

우리 몸속의 혈액은 약 5리터다.

일을 많이 하는 곳으로 혈액이 몰리고 적게 일하면 혈액도 적게 흐른다.

위가 음식을 소화하려면 근육이 움직여야 해서 근육 속으로 혈액이 몰린다.

위로 혈액이 몰리는 대신 팔다리와 머리로는 혈액이 적게 가서 졸리고 나른하다.

위가 소화를 어느 정도 되면 위로 몰린 혈액이 머리와 팔다리로 가서 졸리고 나른한 것이 풀린다.


2023년 7월 22일 토요일

신트림이 올라오는 이유. The reason why new trims are coming up.

 

그림은 위의 속구조다.
그림에서 기저부에서 염산분비세포 많다고 쓰여있다.

위는 염산으로 살균하고 소화시킨다.

우리가 음식을 먹고 위로 음식이 들어오면 위의 점막에서는 바로 염산에 녹지 않는 점액을 분비한다.

위는 들어오는 음식을 차곡차곡 받아들이면서 염산과 소화효소가 들어있는 위액을 분비한다.

염산이 들어있는 위액의 양과 위 속으로 들어온 음식의 양과 비례한다.

많이 들어오면 많이 분비하고 적게 들어오면 적게 분비한다.

음식을 다 먹으면 위의 앞문을 닫고 꿈틀꿈틀 움직이면서 소화를 시킨다. 

이 때 먹은 음식이 많으면 염산도 많이 나온다.

위가 공기를 빼내기 위해서 트림을 하면 위 속에 남은 염산이 함께 나와 신트림을 한다.

음식을 천천히 적당히 꼭꼭 씹어 먹으면 신트림도 신물도 올라오지 않는다.




2023년 7월 21일 금요일

과식후에 가슴이 계속 아픈 이유. Why does my chest continue to hurt after eating too much?

 






식도의 끝이 위의 앞문인 분문에 연결된다.

식도는 가로막(횡격막)을 뚫고 내려가 위의 분문과 연결된다.

가로막은 질긴 근육으로 되었고 가슴속과 배속 사이를 가로로 쳐져 있어 가로막이다.

가로막 위는 가슴속이고 아래는 배속이다.


식도의 끝은 위의 앞이다.

식도는 삼킨 음식이 위로 내려가는 길이다.

위는 먹은 음식을 염산을 분비해 소화를 시킨다.

위에서는 염산이 분비되기 때문에 위 내벽의 점막에서는 

음식이 들어오면 바로 염산에 녹지 않는 점액을 분비한다. 

그러나 식도에서는 염산에 녹지 않지 않는 점액이 분비되지 않는다.

우리가 과식을 하면 위가 팽창하고 위가 연동운동을 하면 위의 앞문이 제대로 닫치지 않아 염산에 절여진 위의 내용물이 식도로 올라온다.

식도는 염산에 무방비 상태인 식도 내벽은 할퀴어 상처를 입어 왼쪽 가슴이 쓰린다.

위는 가로막 아래 왼쪽 위쪽에 있다.

계속 과식을 하면 위산과다증이 생기고 식도는 헐어 식도염이 되고 나중에는 식도암으로 발전한다.


과식은 금물이다.








2023년 7월 20일 목요일

3군데나 있는 식도협착부의 하는 일. What does esophageal stricture in 3 places do?

그림에서 윤상연골을 찾으면 거기에 식도협착부 첫 번째가 있다.











그림에서 왼쪽 아래를 보면
식도협착부 두 번째와 세 번째 위치가 있다.















혹시 뭘 먹다가 삼키고서 생각하니 맛이나 냄새 등이 해로운 물질이라고 판단되어 확 뱉어 보신적이 있나요? 실은 식도에는 독물질이 지나면 알아차리는 감각이 있다. 그래서 식도에는 잘룩한 협착부가 세 군데나 있다. 우리들이 나쁜 음식을 먹으면 곧장 쪼르르 위로 들어가지 못하고 일단 정지 시키기 위해서다.

 

 

첫번째 협착부는 앞니에서 아래로 약 13cm 부위에 있는데 여기가 어디냐면 남자들로 말하면 앞 목에 아담의 사과가 걸렸다는 툭 튀어나온 부분 있다. 거기서 조금 아래 윤상연골이 있는 곳이다. 둘째 협착부위는 앞니에서 아래로 22cm 되는 부위에 있는데 이곳은 식도 앞에 서서 계속 내려오던 기관이 둘로 갈라지는 부분이다.  세번째 협착부위는 앞니에서 아래로 38cm 쯤에 있다. 이 세번째 협착부는 횡격막(가로막)의 통과부다.


그러나 자신이 해로운 물질을 먹어야겠다고 작정을 하면 식도 협착부를 통과한다.

  

치질이 생기는 이유와 예방

  치질이 생기는 이유와 예방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