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0월 7일 토요일

체성신경과 자율신경을 이루는 뉴런 수가 다르다. The number of neurons that make up the somatic and autonomic nerves is different.

 체성신경은 우리 마음대로 조절되는 신경이고 

자율신경은 우리 마음대로 조절되지 않고

우리 몸이 스스로 조절하는 신경이다.


체성신경은 감각신경과 운동신경이고

하나의 뉴런으로 이루어진다.


자율신경은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이 있고

두 개의 신경으로 이루어진다.



















위 그림을 보면 푸른 선과 붉은 선이 보인다.
푸른 선과 붉은 선은 각기 다른 뉴런이다.


2023년 9월 29일 금요일

추석 보름달과 나. Chuseok full moon and me.

 












오늘은 음력 8월 15일 

추석 명절이다.

휘여청 보름달 온누리에 비추며

오랜만에 모인 가족들의 도란도란 목소리

기름진 음식 냄새 맡으며 배고픈 줄 모르겠다.


반짝반짝 제잘 거리며 속삭이든 

그 많은 별들 잠들게 하고

홀로 두둥실 서쪽으로 흘러가는 

너 외롭지 않느냐?

나는 너와 눈 맞춤 하고

소원을 빌다가

잠들겠다.



2023년 9월 28일 목요일

자율신경은 우리 마음대로 할 수 없다.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cannot be controlled by us.

말초신경계는 체성신경과 자율신경으로 나뉜다.

체성신경은 감각신경과 운동신경으로 나뉜다.

체성신경은 대뇌가 관여해 우리 뜻대로 움직일 수 있다.'

감각신경은 감각기 즉 귀와 눈과 혀와 코와 피부에서 

수집한 정보를 대뇌로 전달한다. 

운동신경은 감각신경이 가져온 정보를 대뇌에서 처리하여

내린 명령을 근육이나 샘으로 가서 실행한다.

팔과 손 근육으로 가서 악수를 하기도 하고, 때리기도 하고

눈 근육으로 가서 흘기기도 한다.

눈물샘으로 가서 자극하여 눈물을 흘리기도 한다.


자율신경은 우리 마음대로 할 수 없다.

교감신경은 비상시에 활동하고 부교감신경은 평상시에 활동한다.

자율신경은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으로 나뉜다.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은 길항작용으로 우리 몸을 다스린다.

예를 들면 

교감신경이 촉진하면 부교감신경은 억제한다.

자율신경은 대뇌가 관여하지 않아 우리 뜻대로 할 수 없다.


다음 그림은 자율신경의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작용을 나타낸다.












2023년 9월 26일 화요일

척수에서 말초신경은 어떻게 뻗어나올까? How do peripheral nerves extend from the spinal cord?


 









그림은 척수관 속의 척수에서 감각신경과 운동신경이 시냅스를 이루어 후근과 전근으로 척수관 밖으로 뻗어 나와 하나로 묶어져 말초신경이 되는 그림이다.


다시 설명하면 

척수에서 앞뒤로 후근과 전근이 나와 합쳐져 말초신경이 되어 온몸으로 뻗어간다.

뒤의 후근으로 감각신경이 들어가고 앞의 전근에서 운동신경이 나와 둘이 하나로 묶어져 말초신경이 된다.


그림에서 척수의 가운데는 H 모양으로 회백질이라고 쓰여있고 주변은 백질이라고 쓰영있다. 뉴런의 세포체는 회색이고 신경돌기는 백색이다. 척수는 뉴런의 세포체가 가운데 있고 주변에 신경돌기가 있어 백질이다. 

신경계는 중추 신경계와 말초 신경계로 나뉜다. The nervous system is divided into the central nervous system and the peripheral nervous system.

 















신경계는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로 나뉜다.

중추신경계는 뇌와 척수를 말한다.

뇌와 척수는 뇌척수액으로 싸여 있다.

뇌척수액은 뇌와 척수 둘레를 순환한다.

척수는 뇌와 말초신경을 연결하는 일을 한다.

말초신경은 뇌와 척수에서 나와 온몸에 그물처럼 뻗는다.

말초신경은 온몸의 감각기가 환경 변화에 대한 정보를 

중추로 전달하고, 중추가 결정하고 판단한 뒤 내리는 명령을

운동기(실행기: 근육과 샘)에 전달해 환경 변화에 대응하게 한다.

 




적혈구의 산소운반. 빈혈증의 이유

  적혈구의 산소운반, 빈혈증의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