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0월 19일 목요일

갈대와 억새의 차이. Difference between reed and silver grass


 







위 사진은 억새.


억새는 들과 산에 살면서

 

은빛 머리칼을 나풀거리고

 

키는 2m 정도로 자라는

 

깔끔쟁이.

 








위 사진은 갈대.


갈대는 물가에 살면서

 

갈색 머리칼을 나풀거리고,

 

키는 3m 정도로 자라는

 

터프가이.



사진의 위는 억새,

아래는 갈대.



억새가 여자라면

 

갈대는 남자

 

둘 다 바람을 타고

 

춤을 추는 가을의 남녀.

 


고창천 따라 천복동에 가면

 

물속에는 갈대가 우거지고

 

둑 위 언덕에는 억새가 우거져

 

억새와 갈대의 차이를 한눈에 볼 수 있었네.

 



2023년 10월 13일 금요일

자율신경 시냅스에서의 신경전달물질은 ?. What are the neurotransmitters at the autonomic synapse?

 체성신경인 감각뉴런과 운동뉴런은 하나의 뉴런으로 이루어진다.

자율신경은 두 개의 뉴런으로 이루어진다.

자율신경은 척수와 연결된 뉴런을 절전 뉴런이라 하고 

절전뉴런에서 실행기(효과기)로 연결된 뉴런을 절후뉴런이라 한다.












그림에서  척수에서 나오는 뉴런이 절전 뉴런이고, 

실행기(기관)에 연결된 뉴런은 절후뉴런이다.

교감신경은 절전뉴런이 짧고 절후뉴런이 길다.

부교감신경은 절전뉴런이 길고 절후뉴런이 짧다.


자율신경에서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은 두 개의 시냅스를 가진다.

부교감신경은 평상시에 활동하고 시냅스에서의 신경전달 물질은 

절전뉴런에서나 절후뉴런에서나 모두 아세틸콜린이다.


그러나

비상시에 활동하는 교감신경은 절전뉴런에서의 신경전달물질은 

아세틸콜린이지만 절후뉴런에서의 신경전달물질은 아드레날린이다.


아드레날린은 부신수질에서도 분비된다.

아침에 세로토닌으로 깨어나 힘차게 활동할 수 있는 것은 아드레날린이 활동하기 때문이다.

아드레날린은 순발력을 발휘하게 한다.

그냥 힘 없이 길을 가다가 횡단보도를 건널 때  파란 불의 시간이 조금 남으면 

갑자기 힘이 솟아나듯 힘차게 횡단보도를 건너게 해 주는 것도 아드레날린 덕분이다.

아드레날린은 비상시가 되면 공격적이기도 하지만 순발력도 갖게 한다.

2023년 10월 7일 토요일

체성신경과 자율신경을 이루는 뉴런 수가 다르다. The number of neurons that make up the somatic and autonomic nerves is different.

 체성신경은 우리 마음대로 조절되는 신경이고 

자율신경은 우리 마음대로 조절되지 않고

우리 몸이 스스로 조절하는 신경이다.


체성신경은 감각신경과 운동신경이고

하나의 뉴런으로 이루어진다.


자율신경은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이 있고

두 개의 신경으로 이루어진다.



















위 그림을 보면 푸른 선과 붉은 선이 보인다.
푸른 선과 붉은 선은 각기 다른 뉴런이다.


2023년 9월 29일 금요일

추석 보름달과 나. Chuseok full moon and me.

 












오늘은 음력 8월 15일 

추석 명절이다.

휘여청 보름달 온누리에 비추며

오랜만에 모인 가족들의 도란도란 목소리

기름진 음식 냄새 맡으며 배고픈 줄 모르겠다.


반짝반짝 제잘 거리며 속삭이든 

그 많은 별들 잠들게 하고

홀로 두둥실 서쪽으로 흘러가는 

너 외롭지 않느냐?

나는 너와 눈 맞춤 하고

소원을 빌다가

잠들겠다.



2023년 9월 28일 목요일

자율신경은 우리 마음대로 할 수 없다.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cannot be controlled by us.

말초신경계는 체성신경과 자율신경으로 나뉜다.

체성신경은 감각신경과 운동신경으로 나뉜다.

체성신경은 대뇌가 관여해 우리 뜻대로 움직일 수 있다.'

감각신경은 감각기 즉 귀와 눈과 혀와 코와 피부에서 

수집한 정보를 대뇌로 전달한다. 

운동신경은 감각신경이 가져온 정보를 대뇌에서 처리하여

내린 명령을 근육이나 샘으로 가서 실행한다.

팔과 손 근육으로 가서 악수를 하기도 하고, 때리기도 하고

눈 근육으로 가서 흘기기도 한다.

눈물샘으로 가서 자극하여 눈물을 흘리기도 한다.


자율신경은 우리 마음대로 할 수 없다.

교감신경은 비상시에 활동하고 부교감신경은 평상시에 활동한다.

자율신경은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으로 나뉜다.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은 길항작용으로 우리 몸을 다스린다.

예를 들면 

교감신경이 촉진하면 부교감신경은 억제한다.

자율신경은 대뇌가 관여하지 않아 우리 뜻대로 할 수 없다.


다음 그림은 자율신경의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작용을 나타낸다.












적혈구의 산소운반. 빈혈증의 이유

  적혈구의 산소운반, 빈혈증의 이유